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연미란
기사사진
[Global Korea]Shin Dong-Bin, kept his word.

[Global Korea]Shin Dong-Bin, kept his word. Shin Dong-Bin, the chairman of Lotte, unraveled more than 80% of the cross-shareholding loops among the subsidiaries. Lotte said on the 27th that from the end of August for 2 months 349 cross-shareholding loops, which accounts for 84% of the total amount of the loop(416) in the company, have been removed. The market expects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ompany would increase since the governance structure has been improved. Rest of the cross-shareholding loops will be cleaned up in the process of listing hotel Lotte, removing cross-shareholding of Lotte Shopping and converting the holding company system. On the 28th of August, Shin purchased 19 thousand stakes (35 billion, 758 million won) at his own expense in order to remove 34%(140 loops) of the cross-shareholding loops. On the same day, he also removed 209 of the loops (50.2%) by purchasing its 3 subsidiaries' stocks including Lotte hotel and Lotte Shopping. Wall Street believes that Lotte should find ways to improve governance structure in its subsidiaries. Getting Hotel Lotte listed on the stock exchange would be the start of it. Shin said "We expect to spend 7 trillion won on the conversion of holding company system" "I will carry forward initial public offering (IPO) so that the shareholder constitution could be diversified"./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신동빈, 약속지켰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롯데그룹 계열사 간 순환출자고리의 80% 이상을 끊었다. 롯데그룹은 27일 8월 말 이후 약 2개월 동안 기존 416개의 순환출자고리 중 약 84%(349개)를 해소했다고 발표했다. 시장에서는 롯데 지배구조가 한층 투명해지면서 시장의 신뢰도 두터워 질 것으로 보고 있다. 나머지 순환출자 고리는 호텔롯데 상장, 롯데쇼핑 순환출자 해소, 지주회사 전환과정에서 풀릴 가능성이 커졌다. 우선 지난 8월 28일 신 회장은 사재를 털어 롯데제과 주식 1만9000주(종가 기준 357억5800만원 규모)를 사들여 순환출자 고리 34%(140개)를 한꺼번에 끊었다. 이어 이날 호텔롯데가 롯데쇼핑 등 3개 계열사 보유주식을 매입해 209개(50.2%) 고리를 추가로 없앴다. 롯데그룹 지배구조 개편의 방점은 지주회사에서 찾아야 한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그 시작은 호텔롯데의 상장이다. 신 회장은 지난 8월 지배구조 쇄신안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그룹의 지주회사 전환 비용으로 7조원을 예상한다"며 "한국 롯데의 지주회사인 호텔롯데의 주주구성이 다양해질 수 있도록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1028000158.jpg::C::480::}!]

2015-10-28 16:39:50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여초 사회' 전환됐지만 女고용률 OECD 최하위

'여초 사회' 전환됐지만 女고용률 OECD 최하위 55~64세 男 고용률 상위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한국 사회가 사상 처음으로 남녀 비율이 역전되는 여초(女超) 사회로 전환됐지만 여성고용률은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55~64세 장년층 남성의 고용률이 80%에 육박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상위권 수준에 올라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남녀 전체 고용률은 20% 까지 격차가 발생했다. 28일 OECD의 2015년 2분기 회원국 고용률 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15~64세 한국 여성고용률은 55.4%로 전분기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고용률이 전분기 대비 하락한 것은 1년 만이다. 한국의 여성고용률은 OECD 34개 회원국 중 28위를 차지했다. 주요 7개국(G7) 평균인 63.4%보다 OECD회원국 평균(58.4%)보다도 낮다. OECD 국가 중 여성고용률이 가장 높은 아이슬란드(82.1%)나 스위스(75.6%)와는 거의 30% 포인트 차이가 나는 수준이다. 특히 출산·육아기에 해당하는 25∼54세의 여성고용률은 62.9%로 G7평균 71.9%는 물론 OECD 평균 67.3%를 크게 밑돌아 34개 회원국 중 30위를 차지했다. 반면 15∼64세 한국 남성고용률은 75.6%로 OECD 평균 74%를 상회했다. 25∼54세 남성 고용률은 87.9%로 역시 OECD평균 85.7%를 웃돌았고, 34개 회원국 중에서는 11위로 상위권이었다. LG경제연구원의 이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전형적인 M자형으로, 20대 초중반 높아졌다고 30대가 되면서 낮아지고 50대 이후 높아진다"면서 "여성고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육아와 일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한편 남녀를 불문하고 한국 장년층의 고용 시장 진입이 빨라지고 있다. 55∼64세 장년층 고용률은 65.5%로 OECD 평균 58%는 물론 주요7개국(G7) 평균 61.3%를 웃돌았다. OECD 34개 회원국 중에는 9위에 올랐다. 특히 남성 장년층 고용률은 78.8%로 OECD 평균 66.8%를 10%포인트 넘게 상회해 34개 회원국 중 최상위권인 6위에 올랐다. 여성 장년층 고용률도 52.5%로 OECD 평균 49.8%보다 높아 34개 회원국 중 16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장년층 일자리의 질은 좋지 않은 편이다. OECD 고용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년층 피고용자의 49.5%는 시간제나 임시직 노동자였다. LG경제연구원 이지선 선임연구원은 "노후준비가 부족한 장년층의 고용시장 복귀는 최근 2~3년간 지속되고 있는 추세"라면서 "최근 법정 정년이 60세로 연장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노후 생계비를 위해 다시 고용시장에 뛰어든 여성 장년층은 시간제 일자리 비중이 높은 보건이나 복지, 서비스업종으로 흡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2015-10-28 15:00:15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법정 간 롯데 신동주-신동빈, 치열한 '공방'

법정 간 롯데 신동주-신동빈, 치열한 '공방'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경영권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롯데그룹 신동주 전 롯데홀딩스 부회장과 신동빈 회장이 법률대리인을 통해 법정에서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서울중앙지법에서 민사합의51부(조용현 부장판사) 심리로 28일 오전 열린 '롯데쇼핑 회계장부 열람 등사 가처분 신청' 심문에서 신 전 부회장과 신 회장 측 법률 대리인은 롯데쇼핑의 중국 사업 손실 등을 놓고 1시간 동안 공방을 벌였다. 신 전 부회장 측 법률 대리인(법무법인 양헌 김수창 변호사 등)은 "신동주 전 부회장은 롯데쇼핑의 대주주로서 롯데쇼핑의 중국 등 해외 사업의 심각한 부실이 경영 상황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정확한 부실 내역을 파악하고 감독·시정할 목적으로 주주의 지위에서 가처분 신청을 했다"면서 "롯데쇼핑의 중국 주요 종속회사의 4년간 매출은 답보 상태인데 반해 당기순손실은 2011년 753억원에서 2014년 5549억원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누적 손실 1조원을 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롯데쇼핑이 그동안 '중국 투자 1조원 손실설'에 대해 "에비타(EBITDA) 기준으로 손실액이 1600억원 정도며 1조 손실은 거짓"이라고 해명해온 데 대해 "에비타는 기업의 현금창출능력 등을 파악하기 위한 특수지표이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신 전 부회장 측은 롯데쇼핑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으로 무모하게 투자하고 있다. 현재 해외 사업은 총체적 난국 상태지만, 롯데쇼핑이 그에 대해 공시하거나 해명하는 것이 없다"며 회계장부 열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신 회장 측 법률 대리인(법무법인 김앤장 이해광 변호사 등)은 PPT 자료를 동원해 적극 반박에 나섰다. 반면 신 회장 측은 "주주는 열람 등사 신청을 할 수 있지만 상법상 악의적 목적 등에 의한 경우엔 열람 등사 신청을 제한한다"며 가처분 신청은 신동주 전 부회장이 "면세점 사업 및 상장을 저지하고 현 경영진을 압박해 자신의 경영권 복귀를 위한 개인적 목적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 회장 측은 언론 보도 등을 인용해 "가처분 신청은 형사 소송 등으로 가기 위한 전략"이라며 "롯데가 국민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전환을 저지하고 신동빈 회장의 경영 성과에 타격을 주기 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가처분 신청은 신격호, 신동주 두 사람의 이름으로 제기됐지만, 이날 심문은 신동주 전 부회장이 제기한 것으로만 분리해 진행됐다. 신청인인 신격호 총괄회장이 피신청 회사인 롯데쇼핑의 대표이사로 있어 절차상 부적합하다는 신 회장 측의 문제 제기를 재판부가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재판부는 피신청인의 대표자를 롯데쇼핑 대표에서 감사로 변경한 다음에 신 총괄회장을 신청인에 포함시키라고 요청했다. 재판부는 양측 공방이 치열한 점을 감안해 통상 3주 후로 잡는 2차 심문 기일을 5주 후인 오는 12월 2일 오후 4시로 정했다.

2015-10-28 14:59:49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민간어린이집 연차투쟁 불구 보육대란 '잠잠'

민간어린이집 연차투쟁 불구 보육대란 '잠잠' 한민련 "회원 어린이집 70% 참여"…복지부 "참여율 10% 수준"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한민련)가 28일부터 사흘간의 '연차 투쟁'에 돌입했지만 우려했던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보육교사 중 일부가 연차를 받은 형식인데다 대체 교사를 채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민련에 따르면 회원 민간어린이집의 70%가 연차 투쟁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민련 소속 민간어린이집은 1만4000여곳에 이르며 이들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 수는 70만명에 달한다. 이 때문에 국공립어린이집이나 아파트, 다세대 가구 등이 가정 어린이집은 불편을 피했다. 반면 복지부는 한민련측의 주장과 달리 연가 투쟁 참가율이 10%에 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각 지자체와 함께 어린이집들에 정상 운영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며 "만약 어린이집이 학부모들의 양해를 구하지 않거나 양해해 줄 것을 강요하는 경우, 휴원에 들어가 학부모들 피해가 발생할 경우 시정조치나 행정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휴원이 아닌 연차 투쟁인 만큼 보육 대란 수준의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있는 부모들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이 같은 투쟁은 누리과정 보육료와 연관이 있다. 한민련은 영아반(만 0~2세) 보육료를 10% 인상하고 올해 1인당 22만원인 누리과정(만 3~5세) 보육료를 30만원으로 올려줄 것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정부는 보육료 예산을 3%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내년도 정부 국회 예산안에는 영아반 보육료 지원단가가 동결되는 것으로 돼 있어 정부와 교육청 간의 알력다툼도 계속되고 있다.

2015-10-28 14:36:55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산후조리원서 집단감염 발생하면 "폐쇄"

산후조리원서 집단감염 발생하면 "폐쇄"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운영자 과실로 집단 감염이 발생한 산후조리원은 영업정지나 폐쇄명령을 받게될 전망이다. 조리원 종사자의 예방접종을 의무화하고 아기 요람 간격이 좁지 않도록 시설 규정도 강화된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후조리원 감염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종합대책의 핵심은 산후조리업자의 책임성을 강화한 데 있다. 우선 감염 사고 발생시 산후조리업자 의무 불이행에 대한 처벌 규정이 강화된다. 의료기관 미이송시 벌금을 3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의료기관 이송사실을 보건소에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1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각각 상향 조정한다. 만약 산후조리업자의 과실로 인해 집단 감염 등 중대한 사고가 발생하면 산후조리업자에 영업정지나 폐쇄를 명령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된다. 아울러 복지부는 '산후조리원 감염관리지침'을 구체화해 이를 고시로 제정하고 법적 구속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지침이 고시로 제정되면 신생아가 입실하기 전에 별도 공간인 '사전관찰실'에서 4시간 이상 격리·관찰하도록 하는 의무가 산후조리원에 부과된다. 또 주 보호자 1인에 한해 임산부실 출입을 허용하고 기타 방문객은 면회실에서 산모만 면회하도록 관리가 강화된다. 복지부는 이 같은 의무를 어길 경우에는 시정명령과 함께 벌금 300만원을 산후조리원에 부과하도록 할 계획이다. 신생아실 내 집단 감염을 막기 위해 신생아 1인당 공간을 늘리는 방안도 추진한다. 아울러 복지부는 산후조리원에 대한 점검 주기를 1년에 2회에서 분기별 1회로 단축하는 한편 산후조리업자에 대한 감염예방교육도 2년 1회에서 1년 1회로 더 자주 받도록 하고 교육 대상에 산후조리업자 뿐 아니라 종사자도 포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주출입구와 신생아실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고 영상정보를 90일 이상 보관할 것을 권고할 방침이다.

2015-10-28 14:08:5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서울대 교수 382명 "정치적 무리수…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서울대 교수 382명 "정치적 무리수…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서울대 교수 382명이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정치적 무리수"라고 비판하며 국정 전환에 반대 성명을 냈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우려하는 서울대 교수모임' 소속 교수 12명은 28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정부·여당은 근거 없고 무모하며 시대에 역행하는 위험한 역사 교과서 국정화 결정을 취소하고 교과서 제작 자율성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성명서는 역사교육과 유용태 교수와 국사학과 허수 교수가 대표로 낭독했으며 서울대 교수 372명과 명예교수 10명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정부·여당은 정부의 검정을 통과해 일선 학교에 보급된 교과서가 종북·좌편향이라는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를 내세워 국정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국정화 강행의 본질은 교과서 서술 문제나 역사교육 문제가 아니라 집권측 일각의 정치적 고려가 앞선 무리수"라고 주장했다. 교수들은 아울러 "이대로 국정화를 시행한다면 다양한 관점을 통해 깊은 성찰의 의미를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으로서의 역사교육은 의미를 잃게 된다"며 "학문과 교육이 정치의 희생양이 돼 헌법이 보장한 자율성·전문성·중립성을 침해당하게 된다"고 비판했다. 이번 성명 발표는 일부 교수를 중심으로 초안을 작성하고 단과대별로 발기인을 모집해 2000명에 달하는 교수들에게 일일이 이메일을 보내 참가 교수를 모은 후 이뤄졌다.

2015-10-28 14:05:20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회사 허락 없이 '육아휴직' 할 수 있는 법안 추진

회사 허락 없이 '육아휴직' 할 수 있는 법안 추진 서울시-장하나 등 국회의원 20명, 법률 개정안 발의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사업주 허락 없이도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산하 여성노동단체 와 장하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등 국회의원 20여명은 28일 오전 11시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한다고 밝혔다. 현행법은 여성 근로자가 법적으로 보장된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을 사용할 때도 사업주가 허용하지 않으면 무단결근으로 간주한다. 근로기준법 개정안에는 '근로자가 통보한 출산전후휴가 개시 예정일에 사용자가 휴가를 주지 않으면 근로자가 통보한 출산전후휴가 개시 예정일에 휴가가 시작된 것으로 본다'는 조항이 신설됐다.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안에는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신청했음에도 사업주의 명시적 허용이 없는 경우 사업주가 근로자의 신청에 따라 육아휴직을 허용한 것으로 본다'는 조항을 만들었다. 서울시는 이번 법 개정안이 서울시 경력단절예방지원단의 정책 제안을 바탕으로 노무사 5명, 변호사 3명으로 구성된 지원단 산하 제도개선위원회가 도출해 낸 연구성과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장 의원은 현역의원으로는 최초로 임기 중 임신과 출산을 겪으면서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정책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번 개정안 작업에 동참했다. 실제로 서울시 직장맘지원센터 운영이 시작된 후 3년간 종합상담 6422건 중 '직장 내 고충'이 차지하는 비중은 83%였고 그중에서도 대다수가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에 대한 상담이었다.

2015-10-28 13:50:08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南北노동자축구대회 8년만 개최…양노총 대표단 평양행

南北노동자축구대회 8년만 개최…양노총 대표단 평양행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1년8개월 만에 이뤄진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데 이어 남북이 함께하는 노동자축구대회가 8년 만에 개최된다. 28일 노동계에 따르면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과 최종진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 등 양대 노총 대표단 162명은 이날 낮 12시30분 이스타항공 전세기편으로 서해 직항로를 이용해 방북했다. 평양 순안공항으로 향하는 이들은 31일까지 3박4일간 평양에서 열리는 '남북 노동자 통일축구대회'에 참가한다. 1999년 평양에서 처음 열린 남북노동자축구대회는 2007년 경남 창원에서 한차례 열린 데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양대 노총의 이번 방북 인원은 천안함 피격사건을 계기로 2010년 5월 취해진 5·24 대북제재 조치 이후 최대 규모로 알려졌다. 양대 노총은 "이번 대회는 남북관계 개선과 평화, 통일의 새 전기를 마련한 것은 물론 민간 자주교류 운동의 큰 물꼬를 틀 것"이라며 "대회를 계기로 우리 노동자들은 민족의 통일 염원을 담아 노동자 통일운동을 더욱 강화 발전시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노총에서는 김동만 위원장, 김주익 수석부위원장, 최두환 상임부위원장, 민노총에서는 최종진 수석부위원장, 박석민 통일위원장, 신승철 전 위원장 등이 대표단에 포함됐다. 이들은 방북 첫날 환영 만찬에 참석한 뒤 29일과 30일 각각 한노총과 민노총 소속 축구팀이 평양 능라도 5·1경기장에서 북한 조선직업총동맹 소속 두 개의 축구팀과 축구경기를 연다. 대회 기간 평양 시내와 생산현장, 역사유적지 등도 방문하며, 31일 오후 6시30분 인천국제공항으로 돌아온다.

2015-10-28 13:43:3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50세 이상 취업' 영향…1989년 이래 서울 취업자 역대 기록

'50세 이상 취업' 영향…1989년 이래 서울 취업자 역대 기록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지난해 서울 취업자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취업난에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고 있지만 50세 이상이 본격적인 인생 이모작에 나선 영향으로 최고 기록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가 서울시민의 날인 28일 발간한 '통계로 본 서울시민 사회상 변화' 자료를 보면 지난해 서울시내 전체 취업자는 514만 6000명으로 10년 새 31만 5000명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9년 이래 최대치다. 20대 취업자는 지난해 82만 5000명으로 10년 전인 2004년(108만 9000명)보다 26만 4000명 감소했다. 그러나 50세 이상 취업자는 2004년 104만 5000명에서 지난해 173만 9000명으로 늘어 69만 4000명이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 취업자 중 20대는 10년 새 14만 5000명, 30대는 10만 4000명이 줄어든 반면 50대는 21만명이 증가해 2006년부터 50대가 20대를 추월했다. 60세 이상도 14만 3000명이 증가해 지난해 처음으로 60대가 20대를 앞질렀다. 여성 취업자 중 20대는 10년 새 11만 9000명 감소했지만 50대는 22만 5000명 증가해 지난해 처음으로 20대를 추월했다. 30대는 3만 3000명, 60세 이상도 11만 6000명이나 늘었다. 서울시는 "남녀 모두 50세 이상 중·고령층 취업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고령화 사회 변화와 더불어 취업자 연령구조도 고령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15-10-28 11:58:19 연미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