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연미란
기사사진
김무성 "野, 민생 경제 발목…현행 교과서 문제 없다고 보나"

김무성 "野, 민생 경제 발목 잡아…현행 교과서 문제 없다고 보나"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28일 "야당은 입만 열만 경제와 민생 살리기에 전념하라면서 이렇게 미래로 나아가려는 대한민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 "4대 개혁과 경제활성화법안 처리,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등 현재 정치권이 해야 할 일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에 대해서는 "야당은 중립적이고 올바른 교과서를 만들어 나라를 바로 세우는 일에 시비를 걸지 말고 정치투쟁을 자제해야 한다"면서 "문재인 대표는 지금의 역사교과서가 문제없다고 생각하는지 국민 앞에 답변하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야당은 우리 아이들을 부정적 패배주의 역사관으로 물들이는 지금 교과서가 정말 좋은 교과서이고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지 명확하게 해달라"고 거듭 말한 뒤 "야당이 책임있는 공당이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지금의 부실 역사교과서를 그대로 둬선 안 된다. 역사교과서 문제는 학계에 맡기고 국회에서 민생 법안 처리와 예산안 심사에 열과 성을 다해 달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지난 25일 밤 새정치연합의 역사교과서 관련 교육부 태스크포스(TF) 현장확인 시도에 대해 "정부기관 건물을 급습하고 장외투쟁에 나서는 그야말로 구태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한편 김 대표는 전날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대해 "국회와 정부는 국정운영의 동반자로서 국가를 위하고 국민을 위하는 일엔 하나가 돼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우리 정치권이 할 일을 정확하게 제시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2015-10-28 10:51:59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첫 한일정상회담, 軍위안부 문제 향배 관심 집중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첫 한일정상회담이 내달 2일 열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양국간 최대 현안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향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회담이 성사된다면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취임 후 첫 만남이 성사된다. 28일 일본 NHK방송은 "한일 정상이 11월 2일 서울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양국 정부가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청와대는 이 보도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 않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그간 양국 정상이 취임 후 3년 가까이 되도록 공식 회담을 하지 못한 핵심적 이유였다. 그러나 위안부 문제 해법에 대해 한일 정부의 견해차가 여전하다는 점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정부 안팎의 일반적 관측이다. 지금까지 우리 정부는 과거사 핵심 현안인 위안부 문제에 진전이 있어야 있는 회담을 위한 '여건'도 조성된다는 인식을 보여왔다. 이런 입장을 견지한 채 회담을 앞두고 일본 측의 전향적 입장을 강력하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이 문제를 놓고 최근까지 특별히 진전된 태도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아베 총리가 회담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느냐가 문제의 향배를 판가름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유흥수 주일대사는 26일 한일 수교 50주년 관련 심포지엄 연설에서 군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한일) 정상회담 전에 해결은 못해도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한국) 국민에게 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본 언론은 자국 정부 관계자 등을 인용해 '아베 총리가 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새롭게 사죄할 일은 없을 것'(마이니치 신문) 등 비관적 전망을 전하는 상황이다. 한일 양국은 그간 9차례에 걸친 국장급 협의를 벌여 입장차를 좁혀왔지만 일부 미결 쟁점이 남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방식으로 책임을 인정하고, 피해자에게 재정 지원은 어떻게 할 것인지 등이 마지막까지 쟁점으로 남아 있다. 위안부 문제의 '최종 해결'을 보증하기 위해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소녀상을 철거하라는 일본 측 요구도 양국 간의 쟁점이 될 수 있다. 한일 양국은 지난 2012년에도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 당시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제시한 이른바 '사사에(佐佐江)안'을 토대로 위안부 문제 해결을 모색했다. 사사에안은 ▲일본 총리가 직접 사과 ▲주한일본 대사가 피해자들을 만나서 의견을 청취하고 사과 ▲일본 정부 예산을 통한 피해자 보상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우리 정부에 공식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238명으로, 이 중 47명이 생존해 있다. 올해 들어서만 8명이 세상을 떠나는 등 피해자들이 날로 고령화하고 있어 해결이 시급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2015-10-28 10:32:54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민변 변호사들, '위법 징계' 주장…법무부 징계 결정 무효 소송

민변 변호사들, '위법 징계' 주장…법무부 징계 결정 무효 소송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법무부의 징계절차 개시 결정에 대해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소속 변호사들이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공안 사건에서 빚어진 갈등 때문에 검찰과 법무부가 위법한 징계를 하려 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28일 민변에 따르면 장경욱, 김인숙 변호사는 27일 서울행정법원에 법무부 결정의 무효확인소송을 냈다. 검찰은 지난해 10월 대한변호사협회에 두 변호사의 징계를 신청했다. 장 변호사는 간첩사건 피고인에게 허위진술을 종용했다는 이유로 김인숙 변호사는 세월호 집회관련 사건 변론과정에서 피고인에게 진술거부를 종용했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변협은 이를 기각했고, 검찰은 올해 5월 법무부에 이의신청을 냈다. 법무부 변호사 징계심사위원회는 7월 이의 신청을 받아들여 징계절차 개시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민변에 따르면 이 사실을 당사자가 통보받은 것은 두 달 후인 9월이었다. 민변 소속 김지미 변호사는 "변호사법을 보면 이미 내려진 징계 결정에 불복할 수는 있지만 징계 자체가 내려지지 않았는데 이에 이의신청할 수는 없다"며 "검찰과 법무부가 민변 변호사들에게 '기소도 안 됐는데 2심을 하겠다'는 식의 무리한 대응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2015-10-28 10:13:03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신문 10월28일자 한줄뉴스

정치사회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국회에서 행한 2016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통해 "집필되지도 않은 교과서, 일어나니도 않을 일을 두고 더 이상 왜곡과 혼란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일부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로 역사왜곡이나 미화가 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지만, 그런 교과서가 나오는 것은 저부터 절대로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은 방위사업청으로부터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사업 종합대책을 보고받은 뒤 "계획된 기한 내에 사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부터 2년간 당초 예정된 현역병 입영 정원을 늘리기로 했다. 군 입대 적체 현상을 해소하고, 잠정적으로는 청년 일자리 해소에 보탬이 되겠다는 취지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올해 부진한 수출이 회복되면 앞으로 연 3% 후반대 성장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포스코 비리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조상준 부장검사)는 협력사 특혜 의혹에 연루된 이상득(80) 전 새누리당 의원을 건강상 이유로 불구속기소하기로 결정했다. ▲부정한 청탁의 대가로 자신이 아닌 가족이 금품을 받거나 재산상 이익을 얻도록 한 경우에도 배임수재죄로 처벌을 받게 된다. 국제 ▲미 해군 이지스 구축함 라센호가 국제법상 '항행의 자유'를 내세워 남중국해 난사제도에서 중국이 건설 중인 인공섬 주변 해역을 27일 오전 항해했다. 미국은 인공섬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항행을 실시할 방침이다. ▲중국은 27일 오전 남중국해에 건설 중인 인공섬 12해리 이내에 진입한 미군 구축함에 대해 경고 수준에서 대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인공섬이 자국의 영토라며 12해리 이내 접근은 '국제법상 영해'를 불법 침입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일본 정부가 한일 정상회담을 11월 2일 개최하자고 제안했다는 청와대의 발언을 부인했다. ▲베트남전의 참상을 알려 퓰리처상을 받은 사진 속의 베트남 소녀가 43년만에 전쟁 당시 입은 화상을 치료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 ▲ '국민연금 공표통계'에 따르면 7월 말 현재 여성 94만9948명 중 48.3%가 월 20만원 이하의 노령연금을 받고 있다. 수급자수 자체도 남성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인데다 월 100만원 이상의 노령연금을 받는 여성도 수급자의 0.1% 뿐이었다. ▲ 정보과학기술과 금융의 융합을 의미하는 핀테크(Fintech) 영역을 선점하기 위한 은행권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은행과 보험사가 금융투자회사보다 정보기술( IT) 투자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이 27일 시중은행장과 가진 조찬 간담회에서 "회생가능성이 없는 한계기업을 신속하게 정리함으로써 자원이 생산적인 부문으로 선순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기업 구조조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줄 것을 주문했다. ▲ 삼성카드가 한국 NFC·KG이니시스와 업무제휴를 맺고 연내에 '터치형 NFC간편결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NFC간편결제는 모바일 쇼핑을 할 때 신용카드 실물 터치와 비밀번호 2자리 입력만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 초저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펀드투자자 사이에서 '금리+알파(α)'를 선호하는 분위기가 짙어지면서 리스크가 큰 주식보다는 안정된 채권 수익률이 가능한 채권 혼합형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 금호산업이 광주 우산구역 재개발, 인천생산기지 저장탱크 등 올해 1조5000억원 규모의 신규공사와 7000억원 규모의 공공 수주를 따냈다. 금호산업은 이를 바탕으로 워크아웃 기간 중 사상 최대의 수주 실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유통 ▲롯데그룹이 순환출자고리 해소 노력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롯데그룹은 기존 416개의 순환출자고리 중 약 84%(349개)를 해소해 전체 순환출자고리 중 67개(16.1%) 순환출자고리가 남게 됐다. ▲SK네트웍스가 워커힐 면세점과 동대문 면세점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섰다. SK네트웍스는 워커힐 면세점은 도심 복합리조트로, 동대문을 세계적인 관광지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SK네트웍스는 두 면세점을 모두 석권할 경우 2020년까지 '이스트 서울·이스트 코리아' 관광벨트를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동원그룹이 연내에 HMR(Home Meal Replacement·가정간편식) 시장에 진출을 위한 채비를 마쳤다. 동원그룹은 이미 환자식, 반조리식품, 반찬류 3개 상품군에 제품 개발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 ▲삼성전자가 2020년까지 시스템에어컨 사업을 키워 전체 에어컨 사업을 2020년까지 100억 달러(약 11조3000억원) 규모로 성장시키기로 했다. ▲LG화학이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할 핵심 생산기지인 난징 공장을 준공했다. LG화학은 이번 중국 전기차 배터리 공장 준공으로 '오창(한국)-홀랜드(미국)-난징(중국)'으로 이어지는 전기차 배터리 글로벌 3각 생산체제를 본격 가동하게 됐다. ▲임지훈 카카오 대표가 취임 한달여 만인 27일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에 위치한 카카오 본사 스페이스닷원 멀티홀에서 첫 공식 기자간담회를 갖고 카카오를 이끄는 새로운 리더로서 현재 추진중인 사업 방향과 미래를 제시했다. ▲'황금 주파수'로 불리는 2.1기가헤르츠(㎓) 주파수를 차지하기 위해 통신 3사 간에 치열한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SK텔레콤과 KT가 보유한 2.1㎓ 주파수의 사용 기간이 내년 말 종료되면서 다시 배분되는 이 주파수를 차지하기 위해서다. ▲삼성, 현대차, LG, SK 등 16개 주요 그룹은 27일 서울 강남구 학동로에서 문화강국 허브 구축을 위한 재단법인 '미르' 현판식을 개최했다. '미르' 설립에 참여한 이들 주요 그룹들은 총 486억원의 출연금을 조성했다.

2015-10-27 19:07:01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김무성, 부친 '친일논란' 조목조목 반박

김무성, 부친 '친일논란' 조목조목 반박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7일 선친인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의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해 해명자료를 배포하며 적극적으로 반박에 나서고 있다. 김 대표측은 이날 오전 김 대표의 선친인 '고 김용주 선생의 친일행적 논란에 대한 입장'이라는 자료를 내고 일부에서 제기하는 주장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김 대표 측은 먼저 일부에서 김 전 회장의 매일신보 기고문을 근거로 친일행적을 주장하는 데 대해 매일신보는 "당사자 동의 없는 강제성 기고나 허위사실 기사화에 대한 기록과 증언이 다수 존재할 만큼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다른 평가내용을 담고 있는 신문기사 등을 근거자료로 제시했다. 김 대표측은 일제에 의해 강제 폐간된 동아·조선일보에는 김 전 회장이 민족운동을 하다 치안유지법으로 일제에 검거되고 조선인을 위한 학교를 세우고, 야학을 개설해 한글을 가르쳤다고 돼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조선인 취학연령 아동들을 위해 포항영흥학교를 인수하고 사재로 한글교육을 위한 조선인 부인 야학을 개설했으며 일본인 상인과 조선 상인간 격차가 커지자 조선 소상인을 위한 조선상인회를 설립했다는 신문기사도 제시했다. 김 대표 측은 김 전 회장이 민선도회의원으로서 총독부에 맞서 조선인의 입장을 대변하는 등의 애국행적에 관한 기사가 192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수십건 이상 근거로 남아있다며 애국적인 활동이 있었다면 편향 없는 객관적 판단과 평가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족문제연구소가 10년간 300만여건을 검토했다던 친일인명사전에는 김 대표의 부친을 등재하지 않았다가, 김 대표가 여당 대표가 되고 난 뒤 이제와서 "향후에 등재하겠다"는 식으로 편향되고 공정하지 않은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반박했다. 김 대표 측은 이와 관련, "김 대표 선친의 지난 삶을 감추고 미화하거나 애국으로 탈바꿈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대표는 오는 29일 포항에 내려가 영흥초를 방문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5-10-27 18:59:13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Car insurance, the ways to make it cheap and plentiful?

[Global Korea]Car insurance, the ways to make it cheap and plentiful? All the car insurance companies have their own special contracts and they have different ways to calculate tariffs. Thus, consumers can save money as much as they know. In order to reduce the insurance premium, consumers should choose special contract that suits them and choose it after comparing the parts that they can get a discount. According to the industry on the 26th, car insurance is composed of personal indemnification I, personal indemnification II, property damage, self physical accident(vehicle lesion), their own vehicle damage, uninsured motorist coverage. How should we choose the roaming service that fits us when we go abroad? The three major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re providing differentiated payment systems to the customers who are going abroad. They offer different sort of services depending on the consumers and their purpose of use. It is true that they take a risk of being charged massive amount of money due to the poor management of their mobile or the choice of the ineffective tariff when they take a trip to abroad. However, the range of choice for tariff expanded now. So it seems possible for consumers to save money on their trip./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자동차 보험, 저렴하고 풍성하게 드는 방법? 자동차 보험은 회사별로 다양한 특약이 있고, 보험료를 산출하는 요율도 제각각이어서 소비자들이 아는 만큼 돈을 절약할 수 있다. 본인에게 맞는 특약을 선택하고 할인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을 비교 선택해야 보험료를 낮출 수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보험은 대인배상I, 대인배상II, 대물배상, 자기신체사고(자동차상해), 자기차량손해, 무보험자동차상해 담보 등으로 구성된다. 해외 나갈 때 내게 맞는 로밍제 선택은 어떻게? 이동통신 3사가 해외여행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로밍 요금제를 선보이고 있다. 이용 목적과 이용자에 따라 이통사간 각기 다른 특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외 여행시 일 1만원 이상의 활용도 떨어지는 요금제를 선택하거나 휴대폰 관리 부실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요금 폭탄'의 위험성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나만의, 내게 맞는 로밍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져 소비자 입장에서도 일상 생활에서 '세는 돈' 줄이며 한푼이라도 아낄 수 있는 여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2015-10-27 18:33:01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청년 일자리 해소 재계 이어 군도 나섰다

청년 일자리 해소 재계 이어 군도 동참 당정, 2년간 현역병 입영 정원 2만명 추가 투입…600억원 예산투입 김무성 "군 입대, 청년실업률에 대한 일시적 대안"…국방부 "다양한 대책 마련 중"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정부가 내년부터 2년간 당초 예정된 현역병 입영 정원을 늘리기로 했다. 군 입대 적체 현상을 해소하고, 잠정적으로는 청년 일자리 해소에 보탬이 되겠다는 취지다. 현행 입영신청제도는 경쟁률이 7.5대 1까지 치솟는 등 '입영장수생' 문제가 심각하다. 군 입대에 떨어질 것을 예상치 못하고 휴학을 한 경우 아르바이트로 경제적 공백을 매우거나 재직 중 갑작스런 군 입대로 일자리와 경력을 잃게 되는 경우도 빈번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와 새누리당은 27일 국회에서 김무성 대표, 김정훈 정책위의장과 한민구 국방장관, 박창명 병무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를 열어 현역병 입영 정원을 추가로 투입하는데 중지를 모았다. 국회가 병무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육·해·공군과 해병대 입영 경쟁률은 7.5대1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6대1보다 더 높아진 수치다. 당정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연 1만명 추가 입영 조치 외에 △산업기능요원을 현행 4000명에서 6000명으로 확대 △고퇴이하자(고졸중퇴이하자) 보충역에 대해서는 지원자에 한해 현역 입영 허용 △장병 신체검사 기준 강화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당정은 내년도에 600억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다. 연간 현역 입영 인원이 25만명 수준이어서 1만명 정도를 더 수용할 역량과 시설은 충분하다는 게 국회 국방위원회 김성찬 의원의 입장이다. 당정은 산업기능요원을 현행 고졸 자격에서 전문대 재학 인원까지 포함시켜 상대적으로 현역 입영인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아울러 산업기능요원의 근무기간 단축도 고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신체검사 기준을 강화하고 고등학교 중퇴자를 보충역으로 돌리는 등 현역 입영 요건을 더욱 까다롭게 하기로 했다. 다만 고교 중퇴자가 보충역 대신 현역 입영을 원하면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 이는 청년 일자리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군 입대를 예상하고 휴학을 하거나 하던 일을 그만 두고 입영에 매달리면서 순환이 되지 않은 상황에 타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지난해 4월 발표한 5대 국정과제 일환인 '일자리 단계별 청년고용 대책'도 군입대로 인한 경력 단절 등 청년고용절벽 해소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군 입대 후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근속장려금 지급 △기술훈련 면제 △맞춤특기병 규모 확대 △군입대자 고용장려금 등의 제도가 일반화된다면 효과는 배가 되는 셈이다. 이날 당정협의에 참석한 김무성 대표는 " 대기자 적체의 해소를 위해 관련 부처와 함께 다양한 대책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재계에서는 청년일자리 해소를 위한 움직임이 이미 분주하다. SK그룹은 청년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활성화에 부응하기 위해 지난달 하반기 채용에 대졸 신입사원 규모를 지난해 보다 15% 증가한 1500명을 채용한다. 또 청년들이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직무교육과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는 고용 디딤돌 프로그램도 본격 가동했다. GS그룹도 올해 하반기 1900명을 채용하고 2017년까지 계열사별로 9700명을 신규 채용할 방침이다. 청년을 위한 기부 릴레이도 이어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신설한 청년 희망펀드에 일시금 2000만원과 매월 월급의 20%를 제1호로 기부한데 이어 이건희 회장 등 삼성사장단과 김호연 전 빙그레 회장도 취지에 공감해 각각 250억원과 1억원을 기부했다. 박 대통령이 이날 국회에서 진행된 시정연설에서 '청년 일자리'를 강조하고, 재계에 이어 군가지 이에 가세하면서 청년고용절벽 해소에 돌파구가 될 지 주목된다.

2015-10-27 18:32:29 연미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