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연미란
기사사진
정부, 2016년부터 2년간 현역병 2만명 추가 입영

정부, 2016년부터 2년간 현역병 2만명 추가 입영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군 입대 적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당정이 2016년부터 2년간 당초 예정된 현역병 입영 정원을 2만명 늘려 추가 입대시킬 방침이다. 당정은 이를 위해 내년도 600억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 내년과 후년 각각 1만명의 현역 신병을 추가로 충원하기로 했다. 27일 정부와 새누리당은 국회에서 김무성 대표, 김정훈 정책위의장과 한민구 국방장관, 박창명 병무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를 열어 이같이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국방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성찬 의원이 전한 바에 따르면 현재 연간 현역 입영 인원은 25만명 수준으로 1만 명 정도를 더 수용할 역량과 시설은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당정은 또 산업기능요원 입대 자원을 연간 4000명에서 6000명으로 늘리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아울러 신체검사 기준을 강화하고 고등학교 중퇴자를 보충역으로 돌리는 등 현역 입영 요건을 더욱 까다롭게 하기로 했다. 다만 고교 중퇴자가 보충역 대신 현역 입영을 원하면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 앞서 병무청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육·해·공군과 해병대 입영 경쟁률은 7.5 대 1를 기록, 지난해 6 대 1보다도 더 높아졌다.

2015-10-27 11:05:33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대법원, '상고법원 대안' 특별재판부 설치

대법원, '상고법원 대안' 특별재판부 설치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대법원이 재판 현상 지연을 막기위해 특별재판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특별재판부는 그간 대법원이 추진해온 상고법원의 대안이다. 의원 입법으로 국회에 계류 중인 상고법원 설치안을 유지하되 반대 의견을 고려해 원안에서 한발 물러선 조치로 보인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은 상고법원을 특별재판부 형태로 내부 재판조직에 편입하는 수정안을 다음 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위에서 제시할 계획이다. 이 방안은 최종심 재판을 대법원에서 받아야 한다는 국민정서와 법 감정을 반영한 것이다. 상고법원 설치가 대법원을 최고법원으로 규정한 헌법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고려했다. 아울러 대법원은 원안에 포함된 특별상고제도 폐지와 보완책을 검토 중이다. 특별상고는 상고법원 판결이 헌법이나 대법원 판례와 어긋나는 등 예외 상황에서 대법원에 재심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그러나 특별상고가 사실상 4심제에 해당하고 시간, 비용 부담이 늘어난다는 우려가 제기돼 반대 의견이 많았다. 상고법원이 서울에 설치되면 지역 주민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보완하려고 '순회재판'을 마련했다. 지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건은 재판부가 해당 지역에 내려가서 재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에 따라 상고이유서 등 각종 기록을 지역의 원심법원에도 제출하도록 할 방침이다. 대법원은 공청회 등에서 제기된 지적들을 검토해 수정안을 마련했다. 지난해 12월 국회의원 168명 이름으로 상고법원 도입에 필요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국회 논의는 지지부진한 상태다. 법안은 내년 5월까지인 19대 국회 임기 안에 통과하지 못하면 자동 폐기된다. 그렇게 되면 최고법원의 심각한 재판 지연 사태를 해결할 수 없게 되고 그 피해는 경제적 약자들이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대법원에는 교통범칙금 불복과 같은 사소한 사건까지 몰려 현재 대법관 1명이 1년에 처리해야 하는 사건이 3000여 건에 달한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대법관보다 최대 수십 배나 많은 것이어서 재판이 지연되고 부실 판결이 나오는 원인이 됐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2015-10-27 10:47:19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떡볶이·순대 HACCP 확대'…영세업체 '존폐위기'

'떡볶이·순대 HACCP 확대'…영세업체 '존폐위기' 식약처 '뒷짐'-소비자 '환영'-영세업체 '위기' [메트로신문 연미란·김성현 기자]국민 간식으로 불리는 떡볶이와 순대의 위생 불량이 커짐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0년까지 전국의 떡볶이떡·순대 등 제조업체에 HACCP(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을 도입하기로 했다. 소비자들은 이를 반기는 분위기지만 영세 업체들은 도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명 등이 순대나 떡을 손수 제작하는 곳이 많아 설치 과정과 비용 등의 어려움으로 한숨을 쉬는 상인들의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상황을 인지하고 있지만 식약처는 별다른 대안 마련 없이 사실상 뒷짐만 지고 있다. 식약처는 26일 떡볶이떡과 순대, 알가공품 등 국민들의 소비가 많은 식품에 대한 HACCP 의무화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관련 제조업체들이 HACCP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인증 준비 단계부터 사후 관리단계까지 전반적인 기술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다만 떡볶이떡의 경우 소규모 업체들이 많은 만큼 10인 이하인 제조업체의 경우 2020년까지 시기를 연장하기로 했다. 10인 이상 업체는 원안대로 2017년까지 인증 설비를 갖춰야 한다. 소규모 업체들의 신속한 HACCP 도입을 위해 국고에서 최대 1400만원(비용의 70%)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업체들이 HACCP 인증을 받는 과정에서 필요한 설비 개·보수 과정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다만 이 과정에서 업체의 면적, 시설, 구조 등에 따라 지원 비용은 상이하게 지급된다. 소비자들은 HACCP 확대 방침에 환영하는 분위기다. 김혜연(44) 씨는 "최근 송학식품 대장균 논란으로 아이들한테 떡볶이를 해주지 않고 있다. 이런 와중에 (떡볶이떡·순대 등 제조업체의) 위생을 강화하겠다는 것은 소비자 입장에서 반가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HACCP 도입으로 재료 단가의 인상 가능성이 적지 않고 영세 업체로부터 재료를 받아왔던 소규모 분식집이 재료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적지 않다. 충북 음성 소재 A떡볶이떡 제조업체 대표는 "가게를 임대해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설이나 설비 개보수 작업을 주인이 허락할 지 모르겠다"면서 "업체들마다 처한 상황이 다른데 의무 적용을 하겠다는 건 결국 문을 닫으라는 소리 아니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 업체 대표는 떡볶이떡 제조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오후에는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그는 또 "몇 달 전 (떡볶이떡) 업체가 해썹 인증을 받으려고 작업장 시설을 바꾸고 설비를 마쳤는데 부적합 판정이 나서 폐업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순대 제조업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B업체 관계자는 "정부가 지원을 한다 해도 직원 2명이 전부인 우리 같은 영세 업체엔 그런 돈은 없다"며 "도입을 위해 내부 구획 정리가 필요하고 공사를 해야 하는데 그럴 여건도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해썹 인증 설비를 갖춘다고 해서 식품 위생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HACCP 인증을 받지 않은) 우리 같은 업체는 직접 제품을 먹기 때문에 위생은 필수다. 근데 (HACCP을 도입한) 대기업은 위생 불량이 계속 적발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실제 떡볶이떡 제조업체인 송학식품은 지난 7월 대장균이 검출된 제품을 팔다 적발됐다. 이 업체는 심지어 HACCP 인증 과정에서 서류를 허위로 작성한 것이 들통나 지난 9월 인증이 취소되기도 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HACCP의 실효성 논란과 관련, "상식적인 수준의 위생관리를 하지 않는 것을 적발해야 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인정한 뒤 "정부의 위생 관리와 영업자의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식품 단가 인상과 영세업체들의 존폐위기에 대해서는 "위생 관리를 위한 계도 과정에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도산 위기를 인지하면서도 "(영세업체들을 위한) 논의는 현재 진행 중이지 않다"고 밝혔다.

2015-10-27 09:26:2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신문 10월27일자 한줄뉴스

정치 사회 ▲박근혜 대통령은 내달 1일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취임 이후 첫 한일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을 별도 개최하기로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국회 예산안 시정연설을 통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과 각종 민생법안 처리 문제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식품당국이 2020년까지 전국의 떡볶이떡·순대 등 제조업체에 HACCP(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을 도입한 가운데 영세 업체들을 중심으로 도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직자들은 생계 유지수단으로 실업급여보다 가족 구성원의 소득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위해 교육부 내에 비밀조직을 운영했다는 의혹에 대해 교육부는 "관련 업무가 증가해 현행 팀에 한시적으로 인력을 보강한 것"이라며 관련 의혹을 일축했다. 국제 ▲한국이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분명한 사과 표명을 요청하고 있지만 일본이 거부해 2일 예상되던 회담 가능성이 불투명해졌다고 산케이신문이 보도했다. ▲제 18기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이하 5중전회)가 4일 동안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이번 5중전회의 핵심의제는 2016년부터 5년 동안의 경제운영 방향을 담은 13·5규획(13차 5개년 계획)을 확정하는 일이다. ▲전경련이 도쿄에서 일본 게이단렌과 제25회 한일재계회의를 열고 양국 간 통화스와프 재개 등 양국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미국 경제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성장 둔화 등 글로벌 악재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상 결정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라이프 ▲서울시가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시 사업에 민간기업의 사회공헌사업을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주거환경개선사업인 '나눔주택사업' 시작을 본격화한다. ▲서울시가 인사동~북촌~삼청동 일대에 생산부터 유통까지 원스톱으로 공예 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공예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유니버설발레단(단장 문훈숙)이 클래식 발레 중 가장 드라마틱한 발레로 손꼽히는 대작 '라 바야데르'로 관객과 만난다. 27일부터 11월1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한다. 산업 ▲최근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면서 3G 사용자들이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됐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SK텔레콤이 2.1GHz 대역에서 3G용으로 사용 중인 주파수 일부를 LTE로 전환하며 3G 이용자 보호대책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가전업체들이 김치냉장고 판매 경쟁에 들어갔다. 올해는 김치냉장고 교체 10년 주기와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힘입어 판매량이 지난해 100만대를 넘어 120만대까지 넘어설 것으로 업계는 전망했다. ▲LG전자가 올해 3분기 미국 드럼세탁기 시장에서 매출액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드럼세탁기 점유율도 27.7%로 1위다. 이는 LG전자가 지난 2003년 미국 시장에 드럼세탁기를 선보인 이후 분기 점유율 기준 두 번째로 높은 성적이다. ▲리니지2·테라 등을 개발한 박용현 PD의 첫 모바일 역할 수행 게임(RPG) '히트(HIT)'가 다음달 11일 구글플레이와 애플 국내 앱스토어에 정식 출시된다. 히트는 언리얼 엔진4를 사용해 모바일게임의 한계를 뛰어넘는 최고의 그래픽을 제공한다. ▲국내 3대 조선사중 하나인 대우조선해양이 경영 정상화의 최대 기로에 섰다. 정부·금융당국과 채권단이 4조원 지원의 전제조건으로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에 고강도 자구계획과 노사 동의서 제출 마감시한을 설정하는 등 강한 압박에 나섰다. ▲진에어가 지난 25일 베트남 첫 번째 정기 노선인 인천-다낭 노선 취항식을 갖고 주 7회 운항을 개시했다. 진에어는 인천-다낭 신규 정기 노선에 183석 규모의 B737-800 항공기를 투입해 매일 운항할 예정이다. 유통 ▲이인원 롯데그룹 부회장이 공식적으로 신동빈 회장 지지 의사를 밝혔다. 이인원 부회장은 지난 21일 사내 인트라넷을 통해 그룹의 경영권 분쟁과 관련, 신동빈 회장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면서 신 전 부회장을 비난했다. 이 부회장의 발언은 26일 뒤늦게 알려졌다. ▲두산은 지역상생형 면세점을 구체화하기 위해 200억원 규모의 '동대문 미래창조재단'을 설립했다. 두산은 재단을 통해 면세점 운영시 동대문 상권 부활까지 꾀한다는 전략이다. ▲롯데칠성음료가 필리핀에 이어 미얀마에서도 펩시의 판매가 늘면서 해외시장에서의 음료 매출 신장을 기대하고 있다. 롯데칠성이 합작법인을 설립해 유통하는 미얀마의 펩시 매출은 전년 대비 250%나 늘었다. 금융증권부동산 ▲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이 취임 1년을 맞이했다. 윤 회장은 LIG손해보험을 인수해 KB손해보험으로 재탄생시킨데 이어 현재 KDB대우증권 인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배구조 안정과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해 발로 뛰는 그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자동차 보험은 대인배상I, 대인배상II, 대물배상, 자기신체사고(자동차상해), 자기차량손해, 무보험자동차상해 담보 등으로 구성된다. 자신의 운전 상황에 맞춰 특약을 선택하고 할인혜택을 비교 분석하면 보험료 절감에 도움이 된다. ▲ 자동차 구매, 주유 등 카드에 따라 혜택이 다양해 운전자나 예비운전자들의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현대기아차 구매자는 현대카드M, 수입차 구매자는 삼성카드V가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 지난해 가계저축률이 최근 10년새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는 소식이 27일 '저축의 날'을 더욱 반갑게 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순저축률(이하 가계저축률)은 6.1%로 2004년(7.4%)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 국내 증시가 오락가락 하자 가치투자와 방어주적인 성격의 배당주와 배당주펀드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특히 '미래에셋TIGER배당성장ETF'와 '삼성KODEX배당성장ETF', '한국투자KINDEX배당성장ETF' 등이 20% 대의 평균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 STX건설이 법정 관리 2년 만에 매물로 나왔다. STX건설은 2005년 설립된 뒤 국내 시공능력 순위 30권 진입, 해외 건설 시공 경험, 상위 10대 건설사만 보유한 화력발전소 시공경험 등으로 매각이 순조로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2015-10-26 19:10:12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검찰, '포스코 비리 연루' 이상득 영장청구 놓고 고심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검찰이 포스코 비리에 연루된 혐의를 받는 이상득(80) 전 새누리당 의원의 신병처리를 놓고 3주째 고심하고 있다. 26일은 검찰이 이 전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한 지 3주째 되는 날이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을 소환한 지난 5일 조사내용과는 별개로 "혐의 입증은 거의 됐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보강수사 여부를 묻는 말에도 "무한정 계속하기는 어렵다"고 말해 조만간 신병처리 여부가 발표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그런데도 검찰은 여태껏 이 전 의원 처리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검찰은 포스코를 7개월 넘게 수사하면서 10명 넘는 포스코건설 전·현직 임직원의 구속영장을 받아냈다. 그러나 정작 그룹 수뇌부 수사의 키를 쥔 핵심인물에 대해선 좀처럼 신병을 확보하지 못했다. 포스코건설 비자금 조성을 진두지휘한 것으로 지목된 정동화(64) 전 부회장은 두 차례나 영장이 기각됐고 검찰이 그룹 비리를 수사할 '우회로'로 택한 배성로(60) 전 동양종합건설 회장의 영장도 지난 8월 기각됐다. 이 전 의원은 포스코 비리의 정점으로 꼽히는 만큼 구속영장이 기각될 경우 파장이 상당할 전망이다. 동력이 크게 떨어질뿐만아니라 김진태 검찰총장의 임기가 한 달여 남은 상황에서 보강수사를 벌이기도 마땅찮기 때문이다. 이 전 의원은 지병으로 최근 10여일째 입원 치료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5일 소환 조사를 받은 직후에도 입원한 적이 있다. 검찰은 소환 조사 뒤 이런 건강악화를 예상이라도 한 듯 "돋보기를 끼고 조서를 꼼꼼히 읽는 등 조사에 문제가 없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전직 대통령의 친형이자 팔순 노인을 출소 2년여 만에 다시 구치소에 수감하는 게 가혹하다는 '동정론'이 이미 소환 전부터 나왔다. 이 전 의원은 저축은행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돼 1년2개월 수감생활을 하고 2013년 9월9월 만기출소했다. 신병처리가 차일피일 미뤄지자 검찰 안팎에서는 김진태 검찰총장이 이달 20일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뒤 가닥이 잡힐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지만 오는 28일 열리는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로 이목이 쏠리는 분위기다. 포스코 수사를 총지휘한 박성재 서울중앙지검장은 유력한 차기 총장 후보 가운데 한 명이다. 포스코 수사의 '화룡점정' 격인 이 전 의원 신병처리가 차기 총장 인선 절차와 맞물릴 경우 예상치 못한 잡음도 우려된다. 이 같은 상황을 종합하면 이 전 의원에 대해 불구속 기소하는 쪽으로 무게가 실린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그동안 "결정된 게 없다"고만 반복하던 수사팀 관계자는 이날 "대검의 지시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해 임기를 한달 여 앞두고 김진태 검찰총장이 결단을 내릴 수 있을 가능성도 엿보인다.

2015-10-26 18:21:50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여야 '국정화 비공개 TF' 논란 점입가경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둘러싼 여야 간 대립과 갈등이 막말을 쏟아내며 극한 대치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26일 교육부의 '국정 역사교과서 비공개 TF(태스크포스) 운영'이 화두로 떠오르며 양측간 공방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TF문건을 확보한 새정치민주연합은 "TF는 정권차원의 국정화 추진 비밀팀"이라고 규정, TF가 꾸려진 건물 앞에서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기존 인력을 근무 지원 형태로 늘린 것일 뿐이라며 여론을 오도 하지 말라"고 반박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즉각 반박하며 야당 의원들의 교육부 교과서 TF 사무실 진입시도와 대치사태를 '공무원 감금 행위'로 규정하고 형사고발 등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하도록 정부에 공식 요구했다. 이날 새정치민주연합은 교육부가 불법 TF를 운영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비밀 TF'를 고리로 청와대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25일 밤 교육부가 국정화 추진을 위해 행정절차법을 어긴 비밀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서울 동숭동 국립국제교육원 내 교육부 사무실을 급습, 내부에 있던 직원들과 대치하면서 정국이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교육부는 이 같은 의혹 제기에 "별도의 태스크포스(TF)가 구성된 것이 아니라 기존 6명이었던 역사교육지원팀 인원을 근무 지원 형태로 늘린 것"이라면서 "별도의 조직이 아니라 인력이 늘어나는 상황이었던 만큼 반드시 공개해야 할 필요도, 숨겨야 할 이유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확대된 역사지원팀 운영 기간을 일단 행정예고가 끝나는 다음달 2일까지 운영한 뒤 이후 지원 형식은 검토 후 결정할 예정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밤부터 야당 국회의원들은 들이닥쳐 공무원들을 감금하는 작태가 벌어지고 있다"며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이 이런 일을 해도 되는지 정말 기가 막힌다"고 비판했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야당이 '화적 떼'는 아니지 않나? 정당한 업무집행을 하는 현장에 찾아가 경찰과 대치하고 있는 야당은 정신차려야 한다"고 야당을 '화적'에 비유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교육부가 자료 요구가 급증하니 인원을 보강한 것인데 산하기관에서 정상적 일을 하고 있는 공무원들에 대해 업무방해를 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야당의원들은 이성을 되찾고 정상으로 돌아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문재인 대표는 서울 용산구 백범 김구기념관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갖고 "아베정권의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지난해 1월 안 의사를 '테러리스트'라고 말했다"며 "불행히도 일본의 아베 신조 정권과 똑같은 역사인식이 지금 대한민국에도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저지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도종환 의원은 "(TF에) 교육부 역사지원팀장 등 직원들이 들락거리는 것을 확인했고, 청와대 정무수석이 사무실에 오기도 했고, 어제는 차관이 왔다는 제보가 있다"며 "공개적으로 투명하게 진행해야 할 정책을 비밀스럽게 운영하는 조직은 해체돼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보이콧을 심각하게 검토해야 한다며 27일 오전 긴급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를 열어 최종 방침을 결정하기로 했다.

2015-10-26 18:17:33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靑 "일본에 내달 2일 한일정상회담 제안"…31일 한중회담(종합)

靑 "일본에 내달 2일 한일정상회담 제안"…31일 한중회담(종합) "한일 양측간 협의 중…일본측 회신 기다리고 있는중"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내달 1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취임 이후 첫 한일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을 별도 개최하기로 했다. 26일 청와대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일중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갖는 방안을 한일 양측간에 협의해왔다"며 "최근 우리측은 개최일자를 11월 2일로 일본측에 제의했고 일본측 회신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양국은 현재 정상회담 일정을 놓고 막판 조율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정상회담 일정이 최종 확정되면 박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게 된다. 박 대통령은 올해 3월 리콴유(李光耀) 전 총리의 국장 참석 때와 지난해 11월 베이징(北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등에 아베 총리와 만나 환담했으나 회담을 한 적은 없다. 박 대통령은 앞서 지난 15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설에서 "아베 총리와 정상회담을 그 기회(한중일 정상회의)에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따라서 청와대가 한일중 정상회의 계기 한일 정상회담 개최 제안을 공개적으로 설명한 것은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박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돼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아울러 청와대는 이와 함께 보도자료를 내고 오는 31일 중국의 리커창(李克强) 총리와 양자 정상회담을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과 리 총리와의 만남은 2013년 6월 국빈 방중 때 가진 면담 및 만찬 등에 이어 이번이 다섯 번째다. 청와대는 "한중 회담에선 양국관계 발전 방안, 한반도를 포함한 주요 지역 및 국제문제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한중 정상회담(이달 31일)→한일중 정상회의(11월1일)→한일 정상회담(2일)으로 이어지는 정상외교 일정을 소화함으로써, 이번 기회에 동북아 3국 협력 체제 복원 구상을 본격적으로 진전시켜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에 따르면 리 총리는 박 대통령의 초청으로 31일부터 내달 2일까지 우리나라를 방문한다. 리 총리의 방한은 2013년 3월 취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리 총리는 방한 기간 박 대통령과의 양자회담, 정의화 국회의장 면담, 황교안 국무총리 면담, 한국 경제단체 주최 환영 리셉션 등의 일정을 가질 에정이다. 청와대는 "2013년 양국 신정부 출범 이래 시진핑 국가주석(서열 1위), 장더장 전인대 상무위원장(서열 3위)에 이어 금번 리커창 총리(서열 2위)의 방한으로 중국 정부의 핵심 지도자들이 모두 방한하게 됐다"며 "한중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발전이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15-10-26 17:34:34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강신명 "지위고하 막론 '조희팔 연루 의혹' 경찰관 엄정 수사"

강신명 "지위고하 막론 '조희팔 연루 의혹' 경찰관 엄정 수사"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강신명 경찰청장은 26일 '조희팔 다단계 사기사건'에 연루된 경찰관이 많다는 의혹에 대해 "전·현직,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엄정하게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강 청장은 이날 오전 서대문구 경찰청사 기자간담회에서 조희팔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경찰청 내부에 최근 꾸린 수사지원 태스크포스(TF)의 역할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강 청장은 이 TF의 업무 영역을 ▲사기 사건 수사 지휘를 통한 국내 은닉재산 추적 및 확보 ▲이 사건과 관련한 경찰관의 비리 연루 의혹에 대한 수사지휘 또는 직접 수사 등 크게 2가지라고 설명했다. 강 청장은 이어 검찰과 경찰이 이 사건을 동시에 수사하는 것과 관련, "검찰이 검거한 강태용에 대한 1차 수사는 검찰이 할 것으로 보이고, 나머지 경찰이 검거·수배한 사람들은 경찰이 수사한다"며 "많은 국민이 피해를 본 사건인 만큼 양 기관이 협력해 은닉재산을 잘 추적하는 것이 첫째"라고 말했다. 강 청장은 아울러 조희팔 사망 여부에 대해서는 "사망했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아직 과학적 물증이 없기 때문에 단언할 수 없다"며 기존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강 청장은 다만 이 사건을 설계한 것으로 알려진 배상혁(44)씨의 검거를 위해 전담팀이 가동됐는데도 7년이나 걸린 점에 대해서는 "저희로선 참 할 말이 없는 부끄러운 부분"이라며 "본청에서 주기적으로 전담활동을 재평가하고 수사 밀착도 높이는 제도적 부분을 연구해보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강 청장은 최근 서울의 한 경찰서 소속 경찰 간부가 여경을 성추행했다는 의혹에 대해 "서울경찰청 특별범죄수사대에서 수사하고 있고, 혐의가 밝혀지는대로 엄중하게 사법 행정조치하겠다"며 참담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2015-10-26 17:25:02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We are the sentinels of subway"

[Global Korea]"We are the sentinels of subway" Subway service normally ends after midnight. When everybody is going to bed with the silence of the night, there are people who are busy working. The engineers of Seoul metro who check if there is any problem on the train. Eventhough it was well over the midnight,1 AM on the 22nd, there were still a lot of people working like it was in the middle of the day in Seoul metro's Sinjeong subway Depot. The Sinjeong subway depot which is in Yangcheon-gu office station is departure point and destination of line 2 managing 84 of its trains. The engineers check if there is any problem with the train. Taking responsibility for safety of the trains from the first train leaves and the last train comes back in is their job. Because line 2 is a loop line, it is hard on trains. Besides, since there are more passengers using the line compared to other lines, the train breaks down easily. Thus, the train needs to be checked more carefully. Kim Joong-Cheol(57 M) the head of engineer laughed saying "If you cannot avoid it , enjoy it. There are more amusing moments when I am working". He went "I have never thought of leaving this job because the work is rough" "We are working with the thought that we would have fun at work and we actually do have fun."./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우리는 지하철의 파수꾼" 지하철은 보통 자정이 넘으면 운행이 끝난다. 밤의 침묵과 함께 모두가 잠드는 그때, 남들보다 더 바쁘게 일하는 사람들이 있다. 운행을 끝낸 지하철 차량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지하철의 파수꾼', 바로 서울메트로 검수부 직원들이다. 지난 22일 새벽 1시 반 무렵 찾은 서울메트로의 신정차량기지. 자정을 훌쩍 넘긴 시간이었지만 마치 한낮처럼 많은 이들이 분주하게 오가며 일하고 있었다. 지하철 2호선 양천구청역에 위치한 신정차량기지는 2호선 차량 중 84대를 관리하고 있는 지하철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이다. 검수부는 차량에 이상이 없는지를 살피는 일을 맡고 있다. 막차가 들어오고 첫차가 나갈 때까지 지하철의 안전을 책임지는 일이 바로 검수부의 역할이다. 지하철 2호선은 순환선이라 지하철에 무리가 많이 가는 편이다. 또한 다른 노선에 비해 탑승객도 월등히 많아서 고장이 잦다. 그만큼 더 꼼꼼하고 열심히 차량을 검수해야 한다. 김중철(57·남) 부검수장은 "피할 수 없으면 즐겨야 한다. 일하면서 즐거운 순간이 더 많다"며 웃었다. 그는 "일이 힘들어서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한 적은 없다"며 "즐겁게 일하자는 마인드로 서로 즐겁게 일하고 있다"고 현장의 분위기를 전했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1026000068.jpg::C::480::}!]

2015-10-26 17:04:03 연미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