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연미란
기사사진
[Global Korea]GunDea and Gangnam, special area for Chinese travelers

[Global Korea]GunDea and Gangnam, special area for Chinese travelers Chinese travelers are spreading in Gangnam and Iteawon from MyongDong which was a their traditional favorite place to visit. Pengtai, Chinese digital marketing subsidiary of Jeil Company, has studied approximately 140,000 the big-data that were searched on the application 'Korean Subway' for 10days from September 28th to October 7th including the 15th, national holiday. And it showed Myongdong was with the highest search numbers, and Hongdea(12%),Dongdeamoon(6%) and Seoul Station(5.7%) accordingly. Gundea Station(ranked 14th place, 33 rakings up), Kangnam station(ranked 12th,19 rankings up), Iteawon Station (ranked 18th,10 rankings up) are the most remarkable changes compared to the last year. It looks like many Chinese tourists are coming to the 'Common Ground', a huge container-shopping mall that opened up this year close to the Gundae subway station. Gangnam station also has many attractions around it for Chinese people including shopping centers, famous restaurants, and hospitals for plastic surgery Some Chinese people visit this place for plastic surgery during a long holiday. Iteawon Station is becoming popular too because many of the restaurants that are run by famous chefs in Korea are placed around here. These chefs are the ones who are on the cooking shows of Korean TV channels, and the programs got popularity in China as well, which naturally caused the incoming of Chinese travelers in Iteawon./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건대·강남 유커 특구 유커(중국인 관광객)들이 즐겨 찾은 장소가 전통적 상권인 '명동'에서 건대입구와 강남역, 이태원 등으로 분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일기획의 중국 디지털 마케팅 자회사 펑타이(鵬泰·PENGTAI)는 15일 국경절 연휴가 포함된 열흘 간(9월28일~10월7일) '한국지하철' 앱에서 검색된 약 14만건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명동역의 검색 비중은 18%로 가장 높게 나왔다. 홍대입구역(12%), 동대문역(6%), 서울역(5.7%), 인천국제공항역(5.6%)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눈여겨 볼만한 점은 전통적인 상권 외에 전년대비 순위가 급상승한 역이다. 건대입구역(14위, 33계단 상승), 강남역(12위, 19계단 상승), 이태원역(18위, 10계단 상승)이 급격히 부상했다. 건대입구역은 올해 역 인근에 문을 연 대규모 컨테이너 쇼핑몰 '커먼그라운드'가 새로운 쇼핑 코스로 인기를 얻으면서 유커의 유입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강남역은 쇼핑 장소, 맛집 등과 더불어 성형외과가 밀집된 지역으로 긴 연휴를 이용해 성형을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한 유커들이 많이 찾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태원역은 국내에서 방영되는 요리 프로그램이 중국에서도 인기 콘텐츠로 부상하면서 '쿡방'에 출연하는 유명 쉐프들의 식당이 밀집되어 있는 이태원역을 방문하는 유커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2015-10-18 16:05:03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남북 핫라인 발언'김만복 전 국정원장 "회고록 판매중단"

'남북 핫라인 발언'김만복 전 국정원장 "회고록 판매중단"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이 오는 19일부터 회고록의 판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김 전 원장은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김용대 수석부장판사) 심리로 16일 열린 출판물 판매금지 가처분 신청 사건 두 번째 심문기일에서 "19일 정오부터 별도 허가를 받을 때까지 책 판매를 중단하고 수거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김 전 원장은 "소송 제기 후 국정원법에 따라 책 발간 허가를 신청했다. 불허된다면 거기에 따른 대응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불허되면 책 판매를 강행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국정원직원법은 '국가정보원 직무 관련 사항을 발간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공표하려면 미리 원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재판부는 심문을 종결하고 화해권고 결정을 내릴 방침이다. 화해권고 결정문이 우편으로 발송되고 양측이 이를 받고 2주간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결정은 확정된다. 김 전 원장은 지난 2일 "남북 정상 간 핫라인 의사소통 구조가 있었다"면서 "남측 핫라인은 국정원에 있어 24시간 상시 대기하면서 그 라인으로 온 것은 김정일 위원장의 뜻으로 알고 바로 김대중·노무현 대통령에게 보고가 됐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김 전 원장을 국정원직원법위반 혐의로 형사고발하면서 한편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백종천 전 청와대 안보정책실장과 공저해 이달 1일 출간한 회고록 '노무현의 한반도 평화구상 - 10·4 남북정상선언'의 판매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김 전 원장은 8일 첫 가처분 심문기일에서 "회고록 내용은 국정원 비밀이나 직무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2015-10-16 17:35:28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법원, 박홍석 모뉴엘 대표 징역 23년 중형…"죄질 매우 나빠"(종합)

법원, 박홍석 모뉴엘 대표 징역 23년 중형…"죄질 매우 나빠"(종합)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가전제품 수출입 대금을 부풀려 3조원 대의 천문학적 사기대출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모뉴엘 박홍석(53) 대표에게 법원이 징역 23년의 중형을 선고했다. 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 범죄로 꼽히는 대우그룹 분식회계 사건으로 김우중 전 대우 회장은 2006년 1심에서 징역 10년과 추징금 21조4484억원이 선고됐다. 추징금 등 여러 요인이 반영돼 징역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박 대표의 선고 결과는 경제사범 엄단 분위기가 반영된 결과로도 보인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김동아 부장판사)는 16일 "혐의가 모두 유죄로 인정된다"며 박씨에게 징역 23년과 벌금 1억원, 추징금 361억원을 선고했다. 함께 기소된 신모(50) 부사장에게는 징역 7년과 벌금 6000만원, 강모(43) 재무이사에게는 징역 6년과 벌금 6000만원을 선고했다. 모뉴엘에서 재무이사로 일하다가 화물운송 주선업체를 차려 사기대출에 가담한 혐의로 기소된 조모(47)씨는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이들에게 적용된 혐의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재산국외도피, 관세법 위반, 외국환거래법 위반, 허위유가증권 작성, 허위작성유가증권 행사, 주식회사의 외부 감사에 관한 법률 위반, 뇌물공여, 배임증재, 사기방조 등이다. 박 대표에게는 이 중 8가지 혐의가 적용됐다. 재판부는 "허위수출 계약서를 작성해 거래가 없는 컴퓨터를 수출한 것처럼 꾸며 보증을 받고 3조4천억원이 넘는 사기 대출을 받았다. 대표적 금융기관 10곳이 피해를 입었고 상환되지 않은 금액이 5400억원을 넘는다"고 밝혔다. 이어 "금융시스템 신뢰를 심각히 훼손했으며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을 장려해 국가경제 발전을 도모하려고 제공하는 무역보험제도와 수출금융제도를 위축시킬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서류 허위 작성과 수출가격 조작, 해외 페이퍼컴퍼니 설립·관리, 분식회계, 무역보험공사 전·현직 임직원에 대한 지속적 로비 등 죄질이 매우 나쁘다"고 덧붙였다. 특히 박 대표에게는 "범행 주모자이고 최종 책임자이며 막대한 금액을 미국 주택구입 등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등 죄책이 유례없이 크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 박 대표 등은 2007년 10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홈시어터 컴퓨터(HTPC) 가격을 부풀려 허위 수출하고 수출대금 채권을 판매하는 등 수법으로 시중은행 10곳에서 3조4000억원을 불법 대출한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됐다. 검찰은 박 대표에게 징역 25년을 구형했다.

2015-10-16 17:06:26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항고심 재판부, 조희연 이어 문용린 전 교육감에도 선고유예

법원, 조희연 이어 문용린 전 교육감에도 선고유예 선고유예 확정시 선거비용 32억 반환 안 해도 돼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지난해 6·4 교육감 선거에서 자신이 '보수단일후보'라는 거짓 사실을 유포(허위사실유포 혐의)한 혐의로 기소된 문용린(68) 전 서울시 교육감이 벌금형 선고유예를 받았다. 서울고법 형사6부(김상환 부장판사)는 16일 "보수단일후보라는 허위사실을 공표해 선거 공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준 것은 맞지만,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허위 정보의 양과 내용이 구체적 수준에 이르지 않았다"며 벌금 200만원의 선고를 유예했다. 1심은 문 전 교육감에게 벌금 200만원을 선고했다. 2심 재판부는 "1심과 같은 형이 선고되면 32억원의 선거비용을 반환해야 하는데, 선거 공정성에 준 영향이나 비난가능성이 낮다는 점에 비춰보면 가혹한 측면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선고유예 이유를 설명했다. 문 전 교육감에게 적용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은 교육감 선거에서 발생한 위법행위를 공직선거법에 따라 처벌토록 하고 있다. 공직선거법상 벌금 100만원 이상이 확정되면 국가에서 받은 선거 비용을 되돌려줘야 한다. 문 전 교육감은 형이 확정되면 선거비용을 반환하지 않아도 된다. 서울고법 형사6부는 앞서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의 고승덕 후보 미국 영주권 보유 의혹에 관한 허위사실공표 사건에서도 1심을 파기하고 벌금형 선고를 유예한 바 있다. 문 전 교육감은 지난해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보수 후보들이 단일화에 합의한 적이 없음에도 자신이 단일후보라는 내용의 홍보물을 만들고 TV 토론회 등에서 이런 주장을 한 혐의로 작년 12월 불구속 기소됐다. 경쟁 후보였던 고승덕 변호사는 1심 재판에서 "문 교육감이 보수단일후보를 사칭하며 선거운동을 한 결과 보수표를 상당히 빼앗아갔. 내가 낙선한 몇 가지 요인 중 하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2015-10-16 15:03:58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헌재, 전원 일치로 "자동차전용도로 이륜차 통행금지 합헌"

헌재, 전원 일치로 "자동차전용도로 이륜차 통행금지 합헌"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이륜자동차의 자동차전용도로 통행을 금지한 도로교통법 63조에 대해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전원일치 의견으로 합헌결정했다. 도로교통법 63조는 긴급자동차를 제외한 이륜자동차는 고속도로 등으로 다닐 수 없도록 정했고, 같은 법 154조에서는 이를 위반하면 3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에 처하게 했다. 헌재는 16일 "이륜차의 구조적 특수성 등을 고려할 때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운행을 허용하면 이륜차 운전자의 안전은 물론 일반 자동차 운전자의 안전까지 저해할 우려가 있고, 원활한 교통소통을 방해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또 이륜차는 일반자동차보다 사고발생 가능성이 크고 사고결과가 중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자동차 전용도로 통행을 금지할 합리적 사유가 있다고 봤다. 헌재는 자동차전용도로가 해당 구간을 연결하는 일반교통용의 다른 도로가 있을 때 지정되므로 이륜차 통행을 금지하더라도 불편은 최소화된다며 해당 조항이 청구인의 통행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박한철 소장과 강일원 재판관은 해당 조항이 위헌으로 선언할 정도는 아니지만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며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는 일정 배기량 이상의 이륜차부터 단계적으로 자동차전용도로 통행이 가능하도록 입법 개선이 필요하다는 보충의견을 냈다.

2015-10-16 14:54:3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캣맘사망사건' 초등생 낙하실험 중 사고…미성년 처벌 어려워(종합)

'캣맘사망사건' 초등생 낙하실험 중 사고…미성년 처벌 어려워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 경기 용인시의 한 아파트에서 고양이 집을 만들던 '캣맘'이 벽돌에 맞아 숨진 사건의 용의자는 초등학생인 것으로 밝혀졌다. 애초 이 사건이 '캣맘'에 대한 증오 범죄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지금까지 드러난 바로는 초등학생의 장난이 이 같은 불상사를 부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16일 경찰에 다르면 사건은 지난 8일 오후 4시 40분쯤 용인 수지구의 한 18층짜리 아파트에서 시작됐다. 아파트 화단에서 고양이집을 만들던 박모(55·여)씨와 또다른 박모(29)씨가 아파트 상층부에서 떨어진 벽돌에 맞아 50대 박씨가 숨졌고, 20대 박씨가 다쳐 병원치료를 받았다. 두 사람은 길고양기를 보살피는 과정에서 알게된 사이인 것으로 조사됐다. 수사에 착수한 경찰은 벽돌이 바람 등 비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자연적으로 떨어졌을 가능성, 누군가 던졌을 가능성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수사해 왔다. 경찰은 아파트 내부 CC(폐쇄회로)TV 영상을 분석해 사건시간대 아파트 104동 5∼6호 라인 또는 옥상에 있었던 것으로 예상되는 주민 20여명을 추려 조사해왔다. 이와 함께 5∼6호 라인 엘리베이터와 출입구 CCTV 영상 한달 치를 분석해 왔다. 경찰의 9일간 수사에도 이렇다할 단서가 드러나지 않자 같은 동 다른 라인 CCTV 영상도 분석해 조사하던 중 이 아파트에 사는 A(10)군이 사건 당일 오후 4시쯤 3∼4호 라인 엘리베이터를 타고 친구 2명과 함께 옥상으로 올라간 사실을 확인했다. 사건 직후인 오후 4시 42분께 같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온 사실도 확인했다. 이를 근거로 지난 15일 저녁부터 A군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이던 경찰은 A군으로부터 자백을 받아냈다. 또 16일 오전 경찰청으로부터 옥상에서 나온 족적이 A군의 것과 일치한다는 통보를 받았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 A군은 친구들과 학교에서 배운 물체 낙하실험을 실제로 해보기 위해 '옥상에서 물체를 던지면 몇 초만에 떨어질까'를 놓고 놀이를 하던 중 옥상에 쌓여있던 벽돌 하나를 아래로 던졌다가 사고를 낸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아파트 옥상에서는 범죄 현장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종류의 벽돌도 발견됐다. A군과 친구들은 벽돌을 던진 뒤 아래에서 사람이 맞았다는 것을 뒤늦게 인식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벽돌은 A군이 투척한 사실을 확인했으나, 함께 있던 친구 2명 중 누군가가 벽돌 투척을 시켰을 가능성도 있어 이들 2명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현재 경찰은 A군과 함께 있던 2명 가운데 1명(11)은 특정해 조사했으나, 나머지 1명(9세 추정)은 A군 등도 이름만 아는 사이여서 신병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이번 사건은 길고양이 내지 캣맘에 대한 혐오증과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잠정 조사됐다. A군의 진술과 여러 정황을 감안할 때 A군이 '누군가 벽돌에 맞아 죽어도 좋다'는 식의 미필적고의로 벽돌을 던졌을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설사 범죄의 의사가 있었다 하더라도 A군은 만 14세 미만의 형사 미성년자여서 형사 입건 자체가 불가능하다. 다만 범행이 확인될 경우 부모와 연대해 민사책임을 지는 것까지 면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A군이 두려워 부모에게 범행사실을 말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부모는 A군에 대한 경찰 조사가 시작될 때까지 A군이 던진 벽돌에 사람이 맞아 사망한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아직 신병을 확보하지 못한 일행 1명을 찾는 한편, 정확한 사건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2015-10-16 14:26:41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法, '명동 사채왕' 금품수수 혐의 검찰 수사관들 무죄

法, '명동 사채왕' 금품수수 혐의 검찰 수사관들 무죄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명동 사채왕'으로부터 대가성 금품을 받은 혐의 등으로 기소된 검찰 수사관들에게 무죄가 선고됐다. 16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엄상필 부장판사)는 명동 사채왕 최모(61·구속기소)씨 사건에 연루된 검찰 수사관 김모(56)씨와 또다른 검찰 수사관 김모(47)씨의 뇌물수수 혐의에 무죄를 선고했다. 다만, 김(47)씨는 최씨의 내연녀 한모(58)씨의 부탁을 받고 검찰 내부전산망에 접속해 사건 진행상황을 알려준 혐의가 유죄로 인정돼 벌금 200만원을 받았다. 이들에게 뇌물을 준 혐의로 기소된 최씨와 한씨도 이 사건에서는 무죄를 선고받았다. 재판부는 "피고인들이 돈을 주고받았는지에 관한 직접 증거는 돈을 건넸다는 한씨의 진술밖에 없는데, 사실상 유일한 쟁점인 한씨의 진술 신빙성에 의심할 만한 사정이 다수 존재한다"며 "처음 돈을 준 시점이 언제인지, 어떻게 전달했는지 등에 관한 진술 일관성이 전체적으로 부족하다"고 판시했다. 이어 "한씨는 일관성이 부족한 이유가 '하도 많이 돈을 줘서 일일이 기억하지 못한다'고 했지만, 이런 진술을 보면 수사관들에게 돈을 줬다는 이 사건 역시 한씨의 착오나 착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한씨는 자신의 범행을 자백했음에도 무죄를 선고받는 이상한 결과가 될 수도 있지만, 형사소송법의 증거원칙에 따라 이런 결과는 어쩔 수 없다. 자백의 진실성에 의심이 있고 보강증거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혐의를 인정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사채왕 최씨는 이 사건의 조사 과정에서 당시 현직 판사였던 최민호씨에게 자신이 관련된 재판이 잘 해결되도록 도와달라며 수차례에 걸쳐 모두 2억6000여만원을 건넨 것으로 드러나 최 전 판사가 기소되기도 했다. 최 전 판사는 1심에서 징역 4년과 추징금 2억6864만원을 선고받았다.

2015-10-16 13:19:43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교원단체·예비교사들, 국정화 철회 촉구

교원단체·예비교사들, 국정화 철회 촉구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기독교 교원 단체인 '좋은교사운동' 소속 역사교사들이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가 집권층의 역사의식을 강요하는 독재적 발상"이라며 국정화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16일 기독교 역사교사들은 성명을 통해 "친일을 친일이라, 독재를 독재라 말하지 못하게 하고 역사 교육의 탄압을 꾀하는 국정화 정책을 엄중히 규탄한다"며 "권력을 가진 자가 역사 해석을 독점하는 것은 연산군이 사초를 열람하고 관련자를 숙청했던 것처럼 역사 자체를 부정하는 조처"라고 비난했다. 이들은 국가가 편찬하는 단일 역사 교과서가 역사 해석의 다양한 관점을 원천봉쇄하고 역사 교육의 획일화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도 전했다. 이날 한국교원대 총학생회와 서울대와 고려대 등 21개 대학교 사범대 학생회, 전국교육대학생연합 등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철회하고 민주적인 교육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하나의 역사인식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주장은 '하나의 시각'을 주입해 통제하겠다는 의도를 대놓고 드러낸 것"이라며 "이는 사물과 현상에 다양하고 합리적인 시각을 기르고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근원으로 하는 역사교육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2015-10-16 13:00:48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근현대사는 전교조 교과서" 취지 발언…김무성·원유철·김정배 피소

"근현대사는 전교조 교과서" 취지 발언…김무성·원유철·김정배 피소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근현대사 집필진은 전교조(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과서"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 등 3명이 피소됐다. 16일 전교조는 국정화 논란과 관련,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이들 3명을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원 원내대표와 김 위원장은 아무런 근거 없이 6만 조합원이 가입돼 있는 우리나라 최대 교원노동조합에 대해 '이적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단체',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단체'라고 폄하했다"고 고소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원 원내대표는 지난 6일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근현대사 교과서 7종 집필진 22명 가운데 이적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전교조 소속이 10명이나 포진돼 있다. 전교조 교과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12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전교조처럼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는 인사를 포함해 극좌는 물론 극우 성향 인사도 집필진에서 배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대표의 경우 최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현행 역사교과서 집필진 대부분은 특정 학교나 특정 좌파성향 집단 소속으로 얽힌 사람 끼리끼리 모임 형성해서 쓰는 경우"라고 언급한 점이 문제가 됐다. 전교조는 새누리당이 '김일성 주체사상을 우리 아이들이 배우고 있습니다'라고 쓰인 현수막을 전국 곳곳에 내건 것도 전교조가 마치 학교에서 주체사상을 가르치는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김 대표 고소 사실에 포함했다.

2015-10-16 11:50:19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국사편찬위 "국정교과서 집필 과정 공개...여론 검증 받을 것"

국사편찬위 "국정교과서 집필 과정 공개…여론 검증 받을 것" 진재관 편사부장 "2000명 집필거부…필요한 분 삼고초려할 것" "특정한 이념에 치우지지 않는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서 저희들이 적극적으로 설득하고 노력하면 (사학 교수 등 관련 학자가 국정 교과서 집필을) 거부 했더라도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진재관 국사편찬위원회 편사부장은 16일 한수진의 SBS전망대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집필 거부 학자 중에) 꼭 필요한 분은 모든 노력과 정성을 다해서 삼고초려해야하지 않을가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역사학자의 90%는 좌파"라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발언에 대해서는 "(국정) 교과서들에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분들이 많아서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일부 수긍했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찬성하는 한국학중앙연구원 권희영 교수가 유력한 필진으로 거론되는 것과 관련해선 "구체적으로 어느 분이 꼭 참여를 해야 한다는 것은 정해놓지 않았다"면서 "어느 쪽에서 보더라도 균형 잡힌 인사들로 집필진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고 편향성을 보이는 인사는 가급적 배제할 뜻을 내비쳤다. 국사편찬위는 집필진 명단을 공개할지에 대해선 검토 중이지만 여러 경로로 알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진 편사부장에 따르면 국사편찬위는 오는 11월 말까지 집필진 구성을 완료하고 집필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올바른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은 지난 9월 고지된 '2015년 개정교육과정'을 따를 것으로 보인다.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이 "이념적 문제가 지나치게 논란되는 건 교과서에 쓸 수 없다"는 발언과 관련, 진 편사부장은 "북한에서 선전문구 자료 내용이 잘못된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다고 본 것 같다. 이런 면을 주의해서 집필하겠다(는 의미로 보면 되겠다)"고 설명했다.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서술이 공보다 과에 치중됐다는 여당과 보수 진영의 주장에 대해서는 "현대사 인물들에 대해서는 해석과 평가가 다양하다"며 "어느 선까지 공정한 지에 대해서는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정교과서 집필 1년이 짧다는 일각의 주장과 관련해선 "검정교과서도 집필 기간은 1년이었다"며 "집필진이 4~5명인 검정 교과서 (집필)와 달리 국정 교과서는 집필진 수를 많이 투입해 검정하고 검수하는 절차를 마련할 것"이라고 계획을 알렸다. 그는 "집필 시작부터 마무리 단계까지 널리 날려 국민들과 전문가들의 검수를 받겠다"며 여론 검증을 시사하기도 했다.

2015-10-16 11:33:14 연미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