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연미란
기사사진
AI 확산 조짐…광주·전남까지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

AI 확산 조짐…광주·전남까지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3개월만에 재발한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될 조짐이다. 추석 연휴 5,6번째 의심축이 잇따라 고병원성 확진 판정을 받는 등 AI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2일 신고 접수된 광주 광산구 AI(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고병원성 AI H5N8형으로 확진됐다고 27일 밝혔다.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은 이 농장 오리의 출하전 검사에서 AI 항원 양성반응이 나오자 농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바 있다. 농식품부는 지난 23일 예방 차원에서 육용오리 9000마리와 청둥오리 1300마리 등 모두 1만300마리를 살처분했었다. 농식품부는 아울러 지난 24일 역학조사중 H5항원이 검출된 전남 담양 소재 가든형 식당도 26일 고병원성 AI H5N8형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문제의 식당은 유통상인으로부터 조리용 오리 11마리를 공급받았는데 이중 1마리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것을 알려졌다. 공급된 오리는 모두 살처분 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좀 더 역학조사를 해봐야 정확한 원인을 알겠지만 AI가 재발한 구역과 인근지점에서 추가 발생이 이뤄졌다"고 밝혀 더 이상의 확산을 막기 위해 더욱 강력한 방역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기사는 뉴시스를 토대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2015-09-27 19:06:14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An end of diesel car?

[Global Korea]An end of diesel car? The automobile market began to totter in the aftermath of Volkswagen's "deliberate circumvention of diesel emission". After the company admitted that 11 million of its cars might have been affected by cheating emmisions with computer software devices that could sense test scenarios when they were being tested, specialists started questioning about diesel cars that were released with a title of "environment friendly and high mileage" . Some say that this scandal might result a paradigm shift to electric vihicles. This scandal started afte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found out the fact that the Volkswagen's cars that were popular in North America had 40 times more NOx emissions than when it was tested. With a help of the scandal, electric vehicle companies have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ir presence. Apple, the IT company, i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electric cars with a plan to release them in 2019. 600 of Apple's researchers and employees are developing electric cars with a team name 'Titan'. Also the company has recently allowed the team to expand its project scale up to three times bigger which shows their clear will./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디젤차의 종언? 폭스바겐그룹의 '배출가스 속임수' 사태로 글로벌 금융시장까지 여파가 미치면서 자동차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폭스바겐 측이 자사의 디젤 승용차 1100만대가 배출가스 차단장치 소프트웨어(SW)로 테스트를 통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하면서 전문가들은 '고연비·친환경' 타이틀을 단 디젤차량에 대해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대규모 '눈속임' 사태를 계기로 전기자동차로 패러다임이 빠르게 전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사건의 발단은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북미에서 인기를 몰아가던 폭스바겐 차량에서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이 차량 검사 때와 실제 주행시 차이가 최대 40배까지 차이가 난다고 발표하면서다. 폭스바겐의 위기로 전기차 업체는 존재감을 부각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맞았다. IT기업 애플은 2019년 전기차 출시를 목표로 개발이 한창이다. 애플 연구원과 직원 600명이 타이탄이라는 팀명을 달고 개발 중이다. 애플은 현재팀의 규모를 세 배까지 늘릴 수 있도록 허용해 전기차 개발에 대한 확실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0924000137.jpg::C::480::}!]

2015-09-24 16:39:52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Criticizm over securing apartment manager's term

[Global Korea]Criticizm over securing apartment manager's term It turned out that Seoul submitted a proposal that apartement manager's term should be secured and it is being criticized by the representatives of apartment. The representatives claim that Seoul is favoring apartment manager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transportation, Seoul submitted a proposal that contains an agenda about securing apartment manager's term at least for 2 years. The purpose of the submission is to support apartment managers institutionally so that they could work in better circumstances without being interfered by the representatives of apartment. However, private organization that represents the residents are strongly against the agenda. Kim won-il, the secretary general of apartment residents says "Managers of apartment are like employees who are hired and get paid by the residents, securing their terms is against principle of democracy and resident autonomy. /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관리소장 임기보장 논란 서울시(시장 박원순)가 아파트 관리소장도 임기를 보장해주자는 취지의 건의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것이 알려지면서 아파트입주민대표 단체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정부에 이어 서울시까지 아파트 관련 이해관계의 한 당사자인 관리소장측을 일방적으로 밀어주고 있다는 의구심이 배경에 깔려있다. 22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는 아파트 관리소장의 임기를 최소한 2년간 보장하는 규정을 주택법에 삽입하자는 취지의 건의서를 지난달 31일 국토부에 냈다. 관리소장들이 동대표들로 구성된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의 부당한 간섭에서 벗어나 소신껏 일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해준다는 취지다. 그러나 아파트입주민들을 대표하는 민간단체들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연합회(전아연·회장 이재윤) 김원일 사무총장은 "관리소장은 입주민들이 돈을 주고 고용하는 일종의 직원 개념인데, 공무원처럼 임기를 보장하는 것은 주민자치와 민주주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0923000111.jpg::C::480::}!]

2015-09-24 09:15:32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생활법률]압류된 물건 중 일부 제외 가능할까

[생활법률]압류된 물건 중 일부 제외 가능할까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몇 개월 전 사채업자에게 500만원을 빌린 A씨는 변제기한을 넘기자 이들로부터 집안 일부 품목을 압류 당했다. 값이 나가는 물건부터 가재도구까지 모두 압류가 되자 A씨는 고민에 빠졌다. 그 물품 중엔 독주회를 앞둔 고등학생 딸의 피아노가 포함돼 있었던 것. 조만간 금전이 마련돼 부채를 갚을 수 있는 A씨. 피아노만 압류 품목에서 제외할 수는 없을까. 민사집행법 제196조 제1항은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하면 채권자와 채무자의 생활형편, 그 밖의 사정을 고려해 유체동산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압류를 취소하도록 명하거나 같은 법 제195조의 유체동산을 압류하도록 명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생활형편'과 '그밖의 사정'이란 채권자과 채무자의 경제적 곤궁의 정도와 압류로 인한 경제적 영향 등을 의미한다. A씨의 경우 압류명령을 내린 법원에 '압류금지물건 확장(혹은 압류 취소) 신청'을 할 수 있다. A씨의 딸이 현재 연습중인 피아노는 소명하기에 따라 민사집행법 제195조 제13호의 '학습용구 또는 이에 준하는 물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아노는 압류품목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 같은 주장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 민사집행법 제196조 제1항에서 규정한 '그 밖의 사정'을 내세워야 한다. 아울러 압류금지물건의 확장 신청과 동시에 법원에 강제집행을 일시정지 시켜 달라는 잠정처분을 신청해야한다. 이 경우 법원에서 동법 제3항이나 같은 법 제16조 제2항에 의해 담보 조건의 명령이 내려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담보의 제공은 보통 현금으로 하며 법원에 공탁하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담보액은 법원이 재량으로 판단하게 돼있으나 보통 해당 물품의 감정가액 정도다.

2015-09-23 18:16:45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이태원 살인사건' 패터슨 "범인은 리…살인 혐의 인정 못해"

'이태원살인사건' 패터슨 "범인은 리…살인 혐의 인정 못해"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이태원 살인사건'의 진범으로 지목된 미국인 아더 존 패터슨(36)이 16년 만에 한국에 돌아와 살인을 하지 않았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그는 자신을 대신해 3년간의 옥살이를 한 뒤 대법원에서 무죄판결을 받은 에드워드 리가 범인이라고 주장했다. 패터슨은 23일 오전 4시26분쯤 미국 로스앤젤레스발 대한항공편을 통해 한국에 도착했다. 그는 1997년 서울 이태원의 한 패스트푸드점 화장실에서 조중필(당시 22세)씨를 흉기로 살해한 뒤 혐의를 부인하며 1999년 8월 미국으로 도주했다가 이날 한국 땅을 밟게 됐다. 이날 5시8분쯤 모습을 드러낸 패터슨은 호송팀 관계자에게 양팔을 잡힌 채 입국장 B게이트로 나왔다. 하얀 티셔츠와 헐렁한 흰 바지를 입고 다소 창백한 얼굴을 한 모습이었다. 수갑을 찬 양 손은 옷으로 둘둘 말려 있었다. 5명의 호송팀과 동행한 그는 비행기에서도 줄곧 수갑을 차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외국에 3명가량의 호송팀을 보내는 것과는 달리 법무부는 현지에서 합류한 1명을 포함해 6명으로 호송팀을 가동했다. "살인 혐의를 인정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패터슨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범인이 에드워드 리라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같은 사람. 난 언제나 그 사람이 죽였다고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희생자 가족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짧게 한숨을 내쉰 뒤 "유가족들은 고통을 반복해서 겪어야겠지만, 내가 여기에 있는 것도 옳지 않다"며 재차 자신의 혐의를 부인했다. 패터슨은 "내가 여기 있다는 사실이 여전히 충격이다"라는 말을 남긴 채 입국장을 빠져나갔다. 이미 구속영장이 발부된 패터슨은 곧바로 서울구치소 수감된 뒤 재판을 받게 될 전망이다.

2015-09-23 09:46:0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Gold spoons and soil spoons in Choosuk

Different reactions are shown among traditional market, SSM(super super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before the chusuk rush. While large retailers' Choosuk gift sales show more than 20% of growth, traditional market's sales have declined 10~20%. An investigation was made to check the sales figure of Namdaemoon, Garak, Joongboo, Doksandong, Woo, Cheongnyangni, and vegetable and fruit market from the 20th to 21th and it turned out that the sales declined 10~20%.(Yet, the merchants who deal at wholesale rate remain roughly the same as last year.) Even though the traditional market was full of customers, they hardly made a purchase. According to the merchants, the number of customers are reduced to two-thirds and the sales volume has fallen off even more. On the contrary, the Chusuk gifts sales of SSM increased more than 10% compared to last year. Lotte department store's sales from the 7th to 20th in September, increased 16.8% compared to last year. An industry official said "It is a recent trend for customers to purchase Choosuk gifts from large scale distributors. Conglomerates' violation of local business right is a problem. How would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 compete with conglomerate's capital and strategy? Some practical solutions are needed."/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추석도 금수저 흙수저 추석 대목을 앞두고 전통시장과 대형마트·백화점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대형 유통업체들의 추석선물세트 매출이 10% 이상 신장률을 보이고 있는 반면 전통시장의 매출은 10~20% 감소를 보이며 양극화된 모습이다. 20~21일 남대문시장, 가락시장, 중부시장, 독산동 우시장, 청량리 농수산시장·청과물시장 상인 등에게 추석 매출을 확인한 결과 전년 대비 약 10~20% 감소했다. (다만 가락시장과 중부시장에서 상품을 도매로 취급하는 곳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손님들이 시장 거리를 채우고 있었지만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는 적었다. 시장 상인들에 따르면 현재 시장을 채우고 있는 손님들도 3년 전의 3분의 2 수준으로 판매량은 그 이상으로 줄었다. 반면 주요 대형유통업체의 추석 매출은 지난해에 비해 평균 10% 이상 늘었다. 롯데백화점의 9월 7일부터 20일까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8% 신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성향이 대형 유통업체에서 추석선물을 구매하는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 대기업들의 무분별한 골목상권 침해도 문제다"며 "전통시장 상인들이 대기업의 자본과 전략을 무슨 수로 이기겠는가.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0922000141.jpg::C::480::}!]

2015-09-22 18:00:52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대학구조개혁 '꼴찌' 대학, "총장 사퇴"요구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교육부가 지난달 발표한 대학 구조개혁 평가결과로 저평가를 받은 기독대학들이 대책 마련에 부심하는 가운데 최저 등급을 받은 서울기독교대학의 후폭풍이 거세다. 22일 서울기독대에 따르면 이 학교는 지난달 31일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70점을 넘지 못해 가장 낮은 'E' 등급을 받았다. 이 등급을 받은 학교는 정원을 15% 가량 감축해야 하고, 장학금 등 정부의 재정지원이 일부 제한된다. 그러나 함께 최저 등급을 받은 대구외국어대와 루터대 등 13개 학교는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반면 서울기독대 학생과 교수, 직원들은 비상대책공동연대를 결성하는 등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이 같은 내홍이 '서울 은평구 땅'을 둘러싼 이사회의 모르쇠에 있다고 주장한다. 서울기독대는 2008년 학교 부지 이전 명목으로 은평구 갈현동 땅을 50억원에 매입했다. 그러나 교육부는 이 지역이 그린벨트로 묶여 있는데다 공시지가보다 비싸게 산 점 등을 들어 이강평 총장을 배임, 횡령으로 고발했다. 수사에 돌입한 검찰은 2012년 이 총장에 대한 무죄판결과 함께 교비 50억원을 환수하라는 판결을 내놨지만 학교는 4년째 이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이번 최저등급 결과도 환수 미이행 등 일련의 사건과 연관성이 있다는 게 공동연대 측의 주장이다. 논란이 거듭되자 이 총장은 지난 4일 이사회에 사표를 제출했지만 이사회가 이를 반려하면서 내부분열은 한층 거세진 상태다. 잇단 논란에 이 총장은 논란이 된 은평구 땅을 팔아 50억원을 회수하고 학교를 안정시킨 뒤 스스로 떠나겠다고 말했지만 사퇴 요구 목소리는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비상연대 소속의 한 교수는 "이 총장이 자진 사퇴로 구조개혁 평가 결과에 책임을 지고, 이사회는 교지매입으로 부당지출된 교비를 환수 조치하는 것이 학교 발전을 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 총장은 "행정제재를 받아 0.286점이 깎인 게 (E등급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2012년 행정처분 받은 내용이 중복 처리된 것으로 교육부에서 행정착오를 한 것"이라며 평가 결과에 문제를 제기, 지난달 31일 교육부에 이의제기를 한 상태다.

2015-09-22 16:55:0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민변 "이란 엔텍합社의 ISD 청구액 공개하라"

민변 "이란 엔텍합社의 ISD 청구액 공개하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한택근 회장)이 론스타, 만수르에 이어 세 번째 제기된 투자자 국가 간 소송(ISD)과 관련, 법무부에 청구액과 계산 근거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이란계 가전업체 엔텍합그룹은 지난 14일 한국 정부를 상대로 보증금 반환을 요구하는 국제 중재를 제기한 상태다. 민변 국제통상위원회 위원장인 송기호 변호사는 22일 "국제중재에는 1차적으로 중재비용, 2차적으로 패소시의 배상액 또는 합의시의 합의금 등 천문학적인 국민 세금이 소요된다"며 "납세자인 국민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은 외국기업이 도대체 얼마를, 무슨 근거로 청구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송 변호사는 "국제중재는 대한민국 정부를 상대로 한 것이므로 관계법령에 의하여 법무부가 정보 공개 의무자"라면서 "법무부는 무작정 정보가 없다고 주장하거나 다른 부처에 떠넘기는 행태를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현재 엔텍합 국제중재뿐만 아니라 론스타가 회부한 국제중재와 '만수르' 회사로 알려진 국제석유투자회사(IPIC)하노칼이 회부한 국제중재에 대해서도 관련 정보를 일체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민변은 현재 론스타 국제중재의 청구액 계산내역을 공개하지 않은 법무부를 상대로 정보공개소송을 진행 중이다. 앞서 민변은 법무부가 만수르 국제중재의 청구액 및 그 계산내역을 비공개한 데 대응해 지난 16일 국세청에 같은 내용의 정보 공개를 청구한 바 있다.

2015-09-22 15:23:2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檢, 박재천 코스틸 회장 징역 2년6월 구형…"진심으로 뉘우친다"

檢, 박재천 코스틸 회장 징역 2년6월 구형…"진심으로 뉘우친다"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 포스코와 거래하며 납품 가격이나 거래량을 조작해 135억원 상당의 회사 자금을 빼돌린 혐의(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횡령)로 재판에 넘겨진 박재천(59) 코스틸 회장에게 검찰이 징역 2년6월을 구형했다. 22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0부(이동근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결심 공판에서 검찰은 "횡령 금액이 적지 않고 빼돌린 돈을 개인의 채무 변제에 사용했다"며 구형 이유를 밝혔다. 다만 검찰은 "피고인은 자신의 잘못에 대해 진지하게 반성하고 있으며 피해 금액 대부분을 회복했다"며 "피고인이 소유한 회사는 사실상 1인 회사인 점 등을 고려해달라"고 법정 최저형인 징역 5년보다 낮은 형을 구형했다. 이에 대해 박 회장 측 변호인은 "피고인이 범행에 대해 반성하고 있으며 임직원들의 관리를 소홀히 한 점 등을 인정한다. 회사의 위기 극복을 위해 사채를 끌어썼고 사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비자금을 조성하게 됐다"면서도 "개인채무 변제를 위해 비자금을 사용한 게 아니라 회사를 위해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박 회장은 최후진술에서 "많은 분들께 심려를 끼치고 사회에 물의를 일으켜 진심으로 뉘우치고 반성하고 있다"며 "회사가 어려워지고 임직원들이 힘들어하는 모습이 안타깝고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앞서 박 회장은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코스틸이 철선의 재료가 되는 철강부산물 '슬래브'를 포스코에서 사들이는 과정에서 거래대금을 부풀리거나 매출액을 조작하는 수법으로 135억원을 빼돌린 혐의로 지난 6월 구속기소됐다. 박 회장은 재판 도중 건강상 이유로 신청한 보석이 받아들여짐에 따라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아왔다. 박 회장에 대한 선고 공판은 오는 10월 23일 오전 11시에 열린다.

2015-09-22 13:00:09 연미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