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Korea]Gold spoons and soil spoons in Choosuk
Different reactions are shown among traditional market, SSM(super super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before the chusuk rush. While large retailers' Choosuk gift sales show more than 20% of growth, traditional market's sales have declined 10~20%. An investigation was made to check the sales figure of Namdaemoon, Garak, Joongboo, Doksandong, Woo, Cheongnyangni, and vegetable and fruit market from the 20th to 21th and it turned out that the sales declined 10~20%.(Yet, the merchants who deal at wholesale rate remain roughly the same as last year.) Even though the traditional market was full of customers, they hardly made a purchase. According to the merchants, the number of customers are reduced to two-thirds and the sales volume has fallen off even more. On the contrary, the Chusuk gifts sales of SSM increased more than 10% compared to last year. Lotte department store's sales from the 7th to 20th in September, increased 16.8% compared to last year. An industry official said "It is a recent trend for customers to purchase Choosuk gifts from large scale distributors. Conglomerates' violation of local business right is a problem. How would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 compete with conglomerate's capital and strategy? Some practical solutions are needed."/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추석도 금수저 흙수저 추석 대목을 앞두고 전통시장과 대형마트·백화점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대형 유통업체들의 추석선물세트 매출이 10% 이상 신장률을 보이고 있는 반면 전통시장의 매출은 10~20% 감소를 보이며 양극화된 모습이다. 20~21일 남대문시장, 가락시장, 중부시장, 독산동 우시장, 청량리 농수산시장·청과물시장 상인 등에게 추석 매출을 확인한 결과 전년 대비 약 10~20% 감소했다. (다만 가락시장과 중부시장에서 상품을 도매로 취급하는 곳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손님들이 시장 거리를 채우고 있었지만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는 적었다. 시장 상인들에 따르면 현재 시장을 채우고 있는 손님들도 3년 전의 3분의 2 수준으로 판매량은 그 이상으로 줄었다. 반면 주요 대형유통업체의 추석 매출은 지난해에 비해 평균 10% 이상 늘었다. 롯데백화점의 9월 7일부터 20일까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8% 신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성향이 대형 유통업체에서 추석선물을 구매하는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 대기업들의 무분별한 골목상권 침해도 문제다"며 "전통시장 상인들이 대기업의 자본과 전략을 무슨 수로 이기겠는가.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0922000141.jpg::C::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