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연미란
기사사진
경찰, '일감 몰아주기 지시 의혹' 부안군청 압수수색(종합)

경찰, '일감 몰아주기 지시 의혹'부안군청 압수수색(종합)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 경찰이 일감 몰아주기 지시 의혹을 받는 부안군청을 압수수색했다. 18일 전북경찰청은 이날 부안군청과 건설업체 사무실 등 총 3곳에 대해 동시 압수수색을 벌였다. 이번 경찰의 압수수색은 최근 100억원이 넘는 관급공사를 수주한 건설업체 대표 A씨가 "부안군 공무원 등으로부터 특정업체에 하도급을 몰아주라는 강요를 받았다"고 폭로했기때문이다. 이에 경찰은 부안군청 건설교통과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여 각종 서류와 컴퓨터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A씨가 거론한 해당 공무원 등의 휴대전화를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불법 일괄하도급 의혹을 받고 있는 건설업체에서도 각종 서류를 가져온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현재 A씨가 폭로한 내용이 신빙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불법 일괄하도급에 대해 이른바 '윗선' 개입 여부도 수사를 벌이고 있다. 한편 건설업체 대표 A씨는 지난 5월 부안군이 발주한 '줄포만 해안체험 탐방도로 개설공사'를 입찰을 통해 낙찰받았다. 이 공사는 14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부안군청 간부급 공무원 등이 공사를 수주한 A씨에게 접근해 "특정 하도급 업체에 일감을 몰아주지 않으면 공사비 등을 줄수 없다"고 강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사는 뉴시스를 토대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2015-09-18 13:46:53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검찰, '협력업체 접대' NH개발 전 본부장 피의자 신분 소환

검찰, '협력업체 접대' NH개발 전 본부장 피의자 신분 소환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농협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협력업체 관계자로부터 골프 접대를 받은 혐의로 성모 전 NH개발 건설사업본부장을 17일 소환 조사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이날 성 전 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 등에 따르면 성 전 본부장은 NH개발 건설사업본부장으로 파견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협력업체 실소유주 정모(54·구속기소)씨로부터 수천만원 상당의 골프 접대를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성 전 본부장은 현재 농협중앙회 모 부서 소속 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NH개발에 파견됐을 당시 이들 업무를 관리·감독해야 하는 의무가 있음에도 협력업체 관계자로부터 향응을 제공받은 것이다. 정씨가 실소유한 건축 업체는 2013년부터 최근까지 NH개발과 농협중앙회가 발주한 공사를 대거 수주해 특혜 의혹이 일었다. 검찰은 이 같은 공사 수주 배경에 성 전 본부장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검찰은 신민섭 전 NH농협은행 부행장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신 전 부행장은 2년여 전 부행장에서 퇴임한 뒤 리솜리조트에서 수개월간 분양 사업을 담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신 전 부행장을 상대로 신상수(58·구속) 리솜리조트 회장이 농협은행으로부터 1600억원대 대출을 받고 회삿돈을 개인적으로 유용한 정황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은행은 리솜리조트가 자본잠식 상태에 들어간 이후에도 수백억원씩 빌려줘 특혜 논란이 일었다. 검찰은 NH개발의 협력업체 일감 몰아주기, 농협은행의 특혜 대출 수사와 함께 농협물류의 일감 몰아주기 수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최원병(69) 농협중앙회장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손동우(63) 전 경주 안강농협 이사를 지난 15일 체포하고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손 전 이사는 서울 논현동에 있는 중견 물류업체 A사 측으로부터 농협과 계속 거래할 수 있게 해달라는 청탁을 들어주고 수억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손 전 이사에 대한 구속 여부는 이르면 17일 밤 늦게 결정될 전망이다. [이 기사는 뉴시스를 토대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2015-09-17 22:35:35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Paralyzed Europe by the Syrian refugees.

Paralyzed Europe by the Syrian refugees. Grexit or Brexit were not the biggest threat to 'One Europe', it is a Syrian refugee crisis. According to Christian Science monitor, a death penalty might be declared to the Schengen agreement if EU does not bring about a fundamental agreement on the refugee crisis by next year. Schengen agreement is the very essence of European unity because it played an important role to get rid of boarders between European countries. The main cause of the Syrian refugee crisis is instability of the Middle East due to the rise of SI. The civil war between the Syrian and the war with IS are not such problems that can be resolved easily. It is quite clear that the situation will get worse. The refugee crisis is not just the beginning. However, Europe is completely paralyzed by the situation already. According to telegraph, Hungary which is one of members of Schengen agreement sealed borders and declared a state of emergency in the nation. Next Hungary announced plans to seal its border with Romania and many other countries as well so that the refugees will not be able to find a way to enter into the country. 난민 앞에 흔들리는 '하나의 유럽' '하나의 유럽'에 가장 큰 위협으로 떠오른 것은 그렉시트(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도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도 아닌 이슬람 난민사태였다. 15일(현지시간)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의 파리발 보도에 따르면 유럽연합(EU) 내에서는 내년까지 난민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합의가 도출되지 않는다면 솅겐조약에게는 곧 사망선고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솅겐조약은 유럽통합의 본질로 불린다. 사실상 국경선 자체를 없애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유럽 난민사태는 이슬람국가(IS)의 발흥 등 중동의 정세 불안이 근본적인 원인이다. IS와의 전쟁은 물론이고 국민의 절반이 난민으로 떠돈다는 시리아의 내전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되레 사태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난민 사태는 이제 시작인 셈이다. 하지만 그 시작부터 유럽은 삐걱거리고 있다. 영국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솅건조약 가입국인 헝가리는 이날 국경지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세르비아와의 국경을 전면 통제했다. 우회로가 될 루마니아 등 다른 국가와의 국경도 곧 통제할 것으로 알려졌다. /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0917000102.jpg::C::480::}!]

2015-09-17 14:48:04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예산 3700만원 들인 법제처 국민법제관 유명무실"

"예산 3700만원 들인 법제처 국민법제관 유명무실"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불편을 느끼는 부분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법령에 반영하기 위해 시행 중인 국민법제관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법제처가 새누리당 이한성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법제처가 임명한 국민법제관은 2013년 466명, 2014년, 2015년 각각 200명이지만 국민 불편법령 및 법령에 대한 심사자문의견을 제출한 건수는 2013년 274건, 2014년 122건, 2015년 96건으로 1인당 평균 의견제출 건수가 한건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임명된 200명의 국민법제관 중 자문의견을 제출한 법제관은 49명(24.5%)에 그쳤고, 국민이 불편을 느끼는 법령에 대한 개선의견을 제출한 법제관은 8명(4%)에 불과했다. 국민법제관 제도는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불편을 느끼는 부분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법령에 반영하기 위한 사업으로 올해 예산은 3700만원이 책정됐다. 이 의원은 "국민법제관은 서민생활에서 불편을 느끼는 법령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며 "다문화가정, 소상공인, 자영업 등 다양한 환경의 현장 경험을 적극적으로 대변할 수 있는 사람들로 위촉하여 국민법제관제도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5-09-17 10:53:10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검찰, '포스코 수사' 9부 능선 넘나

검찰, '포스코 수사' 9부 능선 넘나 정준양 전 회장, 사전구속영장청구 방침 '시기 조율'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포스코 비리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지난 15일 정준양(67) 전 포스코그룹 회장에 대한 네 번째 소환 조사를 마치고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검찰이 이번 조사를 끝으로 16일 영장을 청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전 정권 실세들의 줄소환이 예정된 데다 김진태 검찰총장이 19일까지 자리를 비워 중요한 결정이 어려운만큼 영장 청구 시기는 그 이후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검찰의 시나리오대로 이상득(80) 전 의원과 이병석(64) 의원 등 유력 인사들에 대한 소환이 성과를 보이고 정 전 회장에 대한 영장이 법원에서 받아들여질 경우 7개월 여를 끌어온 포스코 수사가 9부 능선을 넘을 거란 얘기도 거론된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조상준 부장검사)는 전날 정 전 회장을 상대로 새누리당 이 전 의원과 이 의원 등 유력 정치인을 등에 업은 특정 협력업체에 사업상 특혜를 줬다는 의혹에 대해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전 회장에 대한 소환 조사는 지난 3일과 9, 10일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다. 앞서 검찰은 이 전 의원의 측근이 실소유한 협력사 티엠테크, 이 의원과 실소유자가 친분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청소용역업체 이앤씨 등을 압수수색해 확보한 자료와 관련자 진술 등 통해 정 전 회장이 개입한 흔적을 상당 부분 확인했다. 검찰이 지난 11일 압수수색한 자재운송업체 N사, 집진설비측정업체 W사도 이 전 의원의 비호 속에 포스코에서 특혜를 받은 정황이 포착돼 수사선상에 오른 상태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이 제공한 이 같은 전방위 특혜가 2009년 그룹 회장 선임을 도와준 데 대한 '감사의 표시'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성진지오텍 고가 인수, 동양종합건설에 대한 해외공사 일감 몰아주기 의혹 등에 대해서도 막바지 조사가 한창이다. 수사에 동력이 확보되면서 이 전 의원의 검찰 출석도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은 그동안 수사를 통해 확보한 물증과 진술 등에 비춰 이 전 의원에게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검찰 안팎에서는 이런 사정을 감안해 이 전 의원 소환, 정 전 회장 영장 청구 등이 이르면 다음 주 중 순차적으로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2015-09-16 16:13:40 연미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