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11.7년 월급 저축 서울집 겨우 마련

서울에 사는 중산층 가정이 내 집을 마련하려면 번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1년 넘게 저축해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집값이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소득수준에 비해서는 집값이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5일 국민은행이 지난 6월을 기준으로 산출해 내놓은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에 따르면 5단계로 나눈 서울 지역 집값의 중간 수준(3분위)은 평균 4억4646만원 대로 중간 소득(3분위) 가구 연소득인 3830만원으로 나눈 PIR은 11.7배에 달했다.

PIR이 11.7배라는 것은 소득액을 모두 모아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기간이 11.7년이라는 뜻이다. 이번 PIR는 6월 말 현재 집값과 올 2분기를 기준으로 한 가구당 연소득을 각각 5단계로 나누어 산출했다.

서울에서 중간 가격인 3분위 주택을 구입하는 데 걸리는 기간을 소득 수준에 따라 나눠보면 연소득 1295만원의 저소득층인 1분위 가구의 경우 무려 34.5년이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분위(2757만원)의 경우 16.2년, 4분위(5136만원)는 8.7년, 5분위(8534년)는 5.2년이었다.

딱 1년 전인 지난해 6월 말을 기준으로 3분위 주택을 구입하는 데 걸렸던 기간은 1분위 39.7년, 2분위 17.3년, 3분위 12.1년, 4분위 5.5년으로 올해 들어 집값이 하락하면서 내 집 마련 기간이 조금씩 짧아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