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온난화의 저주’ 오싹

여름 길어지고 겨울 짧아져

한반도가 기후 변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이 짧아지는 등 계절 길이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폭염과 집중호우가 반복되는 이상 기후도 잇따르고 있다.

12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8월 전국 평균 일조시간이 1290.4시간으로 1973년 이래 셋째로 적었다. 이 때문에 4월의 전국 평균기온이 9.9도로 전국 평균기온 통계가 있는 73년 이후 가장 낮았다.

‘서늘한 봄’과는 달리 한반도는 여름 내내 폭염에 시달렸다. 올여름 전국 평균기온이 24.8도로 평년(23.5도)보다 1.3도 높아 73년 이래 둘째로 기온이 높았다. 열대야(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 일수는 12.4일로 평년(5.4일)의 배가량으로 2000년 이래 가장 많았고, 폭염일수(하루 최고 기온이 33도 이상, 최고 열 지수가 32도 이상)도 10.5일로 평년(8.2일)보다 2.3일 많았다.

이 때문에 계절의 길이도 변하고 있다. 66∼2009년 춘천 기온을 측정한 결과 봄과 여름의 시작일이 각각 10일, 8일 일러졌지만, 가을과 겨울은 각각 7일과 2일 늦게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장마’라는 신조어가 탄생할 정도로 집중호우성 비가 8월 이후 계속됐다. 8월에 내린 비(374.5mm)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장마 기간의 강수량(304.2mm)보다 더 많았을 정도. 특히 가을로 접어든 9월 상순에도 태풍과 집중호우로 많은 비가 내려 8월 1일∼9월 11일 서울의 강수량은 933.2mm로 전체(1∼12월) 강수량 평년치 1344mm의 4분의 3가량이 불과 40여 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이상 기후의 원인은 모두 지구온난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 관계자는 “일조량 부족과 호우 등은 지구온난화가 가져온 이상기후의 ‘쌍생아’로, 특히 올해에는 ‘엘니뇨’와 ‘라니냐’가 봄과 여름의 기후 이변에 각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며 “2040년에는 90년에 비해 여름은 9일 늘어나고 겨울은 8일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