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외국어고 학생의 40%가량은 월소득 600만원이 넘는 고소득층 자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지역 일반고의 경우 그 비율이 0.4%에 그쳤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김춘진 민주당 의원은 교육 관련 시민단체인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과 공동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수도권 외고생 가정의 소득분포는 월 600만원 이상인 경우가 40.7%에 달한다고 10일 밝혔다. 설문조사는 전국 173개 교 고1 학생 1만1774명을 대상으로 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수도권 외고생 부모의 월소득이 600만∼800만원인 가정은 19.0%였으며 월 800만∼1000만원은 12.3%를 차지했다. 월 1000만원 이상 고소득자도 9.4%로 나타났다.
수도권 국제고와 자립형사립고 학생은 설문조사 표본 수가 100명 안팎으로 적기는 했지만 월소득 600만원 이상 가정의 자녀가 각각 37.1%와 47.9%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수도권 일반고 학생 중 가정의 월소득이 600만원을 넘는다는 응답은 0.4%에 그쳤다. 반대로 월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 가정은 수도권 일반고에서 15.7%였지만 수도권 외고에서 월소득 200만원 이하 가정의 학생은 4.0%였다.
고교 유형별로 학생의 중학교 최종성적도 편차가 컸다. 중학교 성적 상위 10% 이내 학생이 수도권 외고에서는 84.2%를 차지했으나 일반고에는 이 비율이 16.8%에 그쳤다.
고교 입학 전 지출한 사교육비는 수도권 과학고(영재고) 학생이 월평균 72만4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수도권 외고는 51만5000원, 수도권 일반고는 40만4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입학에 가장 큰 도움을 준 요소를 묻는 질문에는 학교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학원-학교 수업-과외-인터넷 강좌 순으로 도움을 받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외고생은 학원(66.7%)의 영향이 학교 수업(8.8%)보다 컸다는 응답이 월등히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