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가 스마트폰 삼국지 시대를 열 수 있을까’.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의 양대산맥이 공고화하고 있는 스마트폰 운영체제(OS) 시장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사활을 건 승부수를 던졌다.
비장의 무기는 ‘윈도폰7’(사진). 이미 ‘윈도 모바일’이란 OS가 있었지만 성적은 처참했다. 국내에선 윈도 모바일이 탑재된 스마트폰인 옴니아 실패의 주 원인으로 지적됐을 정도다.
와신상담의 자세로 모든 걸 바꿔 내놓은 게 야심작 윈도폰7이다. 윈도폰7 기반의 스마트폰은 오는 21일부터 삼성전자와 LG전자, HTC, 델 등이 유럽과 미국 시장 등에 출시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시장 반응은 엇갈린다. 우선 성능 자체에 대해선 점수가 후한 편이다. 기존 스마트폰과는 전혀 다른 초기화면인 ‘라이브 타일’이 매력적이다. MS의 강점인 소프트웨어와 e-메일, 인터넷 메신저 등 인터넷서비스를 기반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기 쉽게 했다. 전화 걸기, 메시지, 전화번호와 SNS 등의 친구정보, 아웃룩, 인터넷, 게임 등을 타일 형식의 초기화면에서 바로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시기가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으로 고착된 시장 상황을 무너뜨리기가 쉽지 않다는 분석에서다. 특히 스마트폰 보급률이 세계 최고라는 국내시장에서 윈도폰7이 미칠 영향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회의적이다. 국내 출시 시기도 내년 상반기 정도로 잡고 있지만 아직 불투명한 상태다.
무료로 제공되는 안드로이드 OS와 달리 윈도폰7은 유료라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 OS를 선호할 수밖에 없는 것도 걸림돌이다. 대량 판매를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선 수십 달러의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하고 윈도폰7을 탑재할 매력이 없어서다. MS가 이례적으로 윈도폰7 기반 스마트폰에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오는 이유다.
또한 애플의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마켓처럼 자체 애플리케이션 마켓이 활성화되지 못한 것도 한계로 지적된다. 따라서 MS로선 집중적인 마케팅 전략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잘 아는 MS가 어떤 전략으로 난관을 타계할지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