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2년까지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청년 일자리를 7만1000개 이상 늘리기로 했다. 취업이 잘될 수 있도록 교육체계까지 뜯어고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4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국가고용전략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청년고용대책을 담은 ‘청년 내 일 만들기’ 제1차 프로젝트를 확정·발표했다.
◆공공부문서 일자리 물꼬 튼다=우선 2012년까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청년친화적 일자리를 7만1000개 이상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신기술을 개발하거나 신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원자력 등 에너지 부문과 자원탐사, 연구개발 관련 분야에서 약 7200명을 고용한다. 이와 함께 학교 안팎에 ‘창조캠퍼스’와 ‘창조마을’을 신설해 청년 사회적 기업가 2000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청년인턴사업도 일부 손질한다. 실효성이 낮은 행정인턴은 폐지하되, 취업률 80% 이상의 좋은 성과를 보인 중소기업 청년취업인턴은 중견기업까지 확대하고, 창직·창업 인턴도 크게 늘려 2012년까지 3만7000명 이상을 취업시킬 계획이다.
◆일 잘하는 청년 일꾼 양성=산업수요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교육체계를 손질한다. 우선 대학 구조조정을 유도해 고학력자 과잉공급을 해소하면서 대학의 취업 책임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밑그림이다. 내년에 청년구직자를 대상으로 ‘취업아카데미’ 50곳을 세워 수요자인 기업 주도로 체계적인 실습훈련을 제공하고 인턴을 거쳐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한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고졸자가 1∼2학년 때 자신에게 맞는 적성을 찾고서 3학년 때 인턴이나 직업훈련 등을 할 수 있도록 ‘취업일굼 프로그램’도 가동한다.
◆대기업-중소기업 동반고용 전략=다음 달 전국경제인연합회 주관으로 대기업-협력업체 공동 채용박람회를 연다. 또 기업이 재직근로자 직업훈련 강화, 실근로시간 단축, 일·가정 양립형 유연 근로 등을 통해 청년고용을 늘릴 수 있도록 정부가 컨설팅과 소요비용 일부를 부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