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랩열풍’ 은행도 덕 본다

특정금전신탁·사모펀드 등 유사 상품에도 뭉칫돈 몰려

증권사들의 맞춤형 종합자산관리서비스인 랩어카운트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은행들이 대응 상품으로 내놓은 ‘짝퉁랩’에도 돈이 몰리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1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현재 랩어카운트 계약자산은 32조3283억원으로 7월 말에 비해 2조5007억원 늘어났다.

지난해 초 13조원대였던 랩어카운트 자산은 지난해 말 20조원대로 올라선 후 제자리걸음을 하더니 올해 들어 3월 말부터 폭증하기 시작해 불과 5개월 만에 32조원까지 초고속으로 불어났다. 이 같은 속도라면 랩어카운트 계약자산은 이달 말에는 35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불어나는 랩어카운트 자산의 또 다른 특징은 1인당 계약잔고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 고액자산가들의 가입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1인당 랩계약 잔고는 작년 1월 2800만원 수준에서 올해 1월 4100만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지난 8월 말 현재 5646만원까지 급증했다.

시중 자금이 랩어카운트로 쏠리는 현상이 뚜렷해지자 은행들이 대응해 내놓은 운용ㆍ문사 연계 특정금전신탁이나 사모펀드에도 돈이 몰리고 있다.

하나은행이 지난 8월 초 내놓은 ‘하나스마트 신탁’에는 두 달 만에 1500억원가량이 몰렸다. 이 상품의 1인당 최소 가입금액은 5000만원이다. 또 신한은행이 지난 7월 현대자산운용에 위탁해 내놓은 사모펀드는 1인당 최소 가입금액이 1억원 이상인 상품임에도 최근까지 1000억원이 들어왔다. 외환은행도 최근 특정금전신탁을 새로 내놨다.

은행 관계자는 “운용 수단이 다를 뿐이지, 특정금전신탁이나 사모펀드도 랩어카운트와 비슷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