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8·29 부동산대책 이후 심각한 전세난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후속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7일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10월 둘째 주 서울에선 강남 3구와 양천구 등 학군 우수지역에 세입자들이 몰리면서 전세난이 심화되고 있다. 수도권은 서울 진입이 어려워진 세입자가 광명·구리·남양주시 등으로 이동하면서 전세물량이 달리는 모습이다.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서 세입자들은 기존 전세 보증금을 올려 재계약을 맺거나 이마저 여의치 않은 경우 재계약으로 오른 전세금만큼을 매달 월세로 납부하는 경우도 나오고 있다.
반대로 매매시장은 싸늘하다.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 매매가는 서울 -0.04%, 경기 -0.03%, 인천 -0.03%, 신도시 -0.07%로 하락세를 이어 갔다. 전세가가 급등한 강남 아파트의 경우 매매가는 서초(-0.24%), 강남(-0.05%) 등으로 하락 폭이 되레 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택시장 악화에 따른 건설업계의 대책 마련 요구도 거세지고 있다. 이날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허윤경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올 하반기 수도권 입주물량이 적지 않았음에도 전셋값이 오른 것은 보금자리주택 대기수요로 매매수요가 전세로 전환됐거나 집값이 더 내려갈 것이라는 불안감에 매수를 유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분양가 상한제를 폐지해 입주 물량을 늘리고 보금자리주택은 공급 물량을 축소해야 한다”는 해법을 내놨다.
하지만 향후 주택시장 정상화를 위해선 매매 활성화를 위한 단기 처방보다는 좀 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단 요구가 많다. “과도한 빚을 얻어 집을 구입한 이들이 자산가격 하락과 함께 이자 부담을 버틸 수 있도록 안정적인 부채 줄이기를 적극 유도하는 게 먼저”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