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기업의 35%가 부실기업이며 그중 절반은 만성적인 부실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1%포인트만 올라도 이들 기업에 대한 부실대출은 줄잡아 1300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계산돼 강력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단 지적이다.
21일 금융연구원 이지언 연구실장이 1600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부실기업은 2008년 현재 561개로 35%를 차지했다. 이자보상비율이 100%에 못 미치면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는 셈이다.
특히 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에 못 미친 기업이 289개로 전체 부실기업의 51%나 됐다. 5년 넘은 부실기업도 143개에 달했다. 부실기업의 수익성은 퇴출기업과 맞먹는 수준. 7년 연속 부실기업은 ROA(총자산순이익률)가 -20%로 집계됐는데, 이는 주식시장에서 퇴출당한 기업의 직전 3년간 ROA(-23%)와 비슷했다. 전체 부실기업의 약 30%인 160개는 부채비율도 200%를 넘는 ‘이중 부실기업’이었다.
부실기업이 오랫동안 버티는 ‘비결’은 부동산과 잦은 증자 덕분이었다. 3년 연속 부실기업의 총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6%였고, 부동산 자산이 매년 평균 13%씩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를 웃돈 우량기업의 부동산 비중은 13%, 부동산 자산 증가율은 8%로 부실기업의 약 절반에 그쳤다.
◆부동산·잦은 증자로 연명
부실기업은 부도 확률이 높을 뿐 아니라 금융 건전성과 타기업 경영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더 심각한 상황은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부실대출은 1360억원 증가한다는 점이다. 특히 금리가 3%포인트까지 큰 폭으로 상승하면 부실대출 증가 폭이 약 1조3000억원으로 금리 1%포인트 인상 때와 비교해 10배 가까이 됐다.
이 실장은 “수시로 기업의 신용위험을 재평가해야 한다”며 “신용대출이 늘도록 자산유동화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