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마음이 급해지는 계절

[임경선의 모놀로그]

날씨가 확 추워졌다. 그 추위에 정신 차려서 달력을 보니 겨우 두 달 남았다는 걸 뒤늦게 깨닫는다. 가벼운 공황 상태에 빠진다. 난 대체 올해 뭐했지. 이것이 다 이상한 대한민국 기후 탓이다. 이젠 여름과 겨울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우리나라 날씨. 거기에 두 번의 국민 명절을 버무리면 대략 이런 흐름으로 한 해가 휙 흘러간다.

1. 새해로 바뀌어 포부를 가지고 새 계획들을 세우기 시작한다.

2. 구정 명절 때까진 집행유예처럼 지내다가 구정 지나 비로소 새해 다짐을 위한 워밍업을 시작한다.

3. 새해 다짐을 실행할 시점 즈음에 날씨가 확 더워지며 대략 5개월간의 긴 여름을 ‘멍 때리며’ 보낸다.

4. 더위 먹고 지내던 어느 날 갑자기 추석 명절이 닥치며 “아니 벌써 올해 한 해가 이렇게 지났나”라며 잠시 놀라다가 내 나이를 세어본다.

5. “그래, 남은 반년이나 열심히 해야지”를 외친 게 엊그제 같은데 날씨가 급 겨울로 바뀌면서 마음이 급해지고 자포자기로 ‘내가 나를 놔버리는’ 상태로 연말까지 지낸다.

그리고 ‘에라 모르겠다’의 심정으로 막판 한두 달을 보내는 데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 국가적 행사는 바로 수많은 송년회. 인간관계를 너무나 중시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지연, 학연, 회사 사람, 거래처 사람, 연인, 친구 등 다 챙기다 보면 12월 한 달도 부족하다.

고로 요새는 편하고 친한 사람들끼리는 알아서 11월에 미리 송년회를 하자고 하는 습관이 정착해 가는 추세라고 한다. 참 재미있다. ‘미리 여유를 가지고 만나자’라는 게 취지인데 사실 이것은 ‘나중의 여유를 확보하기 위해 지금 쫓기듯 보자’라는 것과 다름이 없다.

사람에게 시간은 똑같이 주어지는 것인데, 어차피 먼저 하느냐 나중에 하느냐의 차이일 뿐인데, 뭔가 급히 서두르는 것이 더 여유롭게 느껴지는 이 아이러니. 대략 우리의 삶은 늘 뭐랄까 숙제 해치우기 급급한 삶처럼 보인다. 숙제를 일찍 해치워도 나중에 그 빈자리는 더 큰 숙제로 꽉꽉 채워지기도 하는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