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전세가총액 3조3천억 ↑

'수도권 전셋값만 올린 8·29 대책' 통계로 입증

8·29 부동산대책 이후 수도권 전세가총액이 3조3439억3193만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수도권 전세가총액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29 부동산 대책 이전 161조135억1695만원이던 수도권 전세가총액은 대책 이후 두 달이 지난 현재는 164조3574억4888만원으로 3조3439억3193만원 증가했다. 전세가총액은 시가총액과 달리 전체가구에 적용하기 어려워 시·도별로 발표한 전세거주율(서울시 33%, 경기도 25.6%, 인천시 21%)을 기준으로 전세가구의 전세가만 산출했다고 닥터아파트 측은 설명했다.

권역별 증가액을 살펴보면 ▲서울시 1조6792억4922만원 ▲경기도 1조1823억6986만원 ▲신도시 3785억8304만원 ▲인천 1037억2982만원 순이었다. 이 같은 전세가 상승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떨어지면서 매매수요가 전세수요로 선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 수도권 입주 물량이 감소한 데다 가을 이사철이 겹치고 보금자리 공급 등 무주택자 자격을 유지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것도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지역별로 전세가총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용인 4431억6531만원 ▲송파 2836억3253만원 ▲양천 2809억3890만원 ▲강남 2012억2468만원 ▲서초 1311억323만원 ▲분당 1310억7136만원 ▲용산 1295억3655만원 등의 순이었다.

◆ 오름세는 한풀 꺾여

한편 전셋값 오름세는 한풀 꺾였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전셋값은 서울(0.12%), 신도시(0.06%), 수도권(0.16%) 모두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조금 작아졌다. 내린 지역은 없었으나 동대문구(0.0%), 종로구(0.01%), 강남구(0.08%), 송파구(0.09%) 등의 오름세는 주춤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급매물 소진 후 추격 매수세가 따라붙지 않고 있어 이전처럼 가격이 오르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