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와 쇠고기 이슈를 놓고 한·미 간 빅딜 가능성이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8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쟁점 해결을 위한 양국 간 협의와 관련해 자동차 안전 및 연비, 환경기준을 완화해달라는 미국 측 요구를 수용할 의사가 있음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또 정부는 아직 미국 측이 실무급 협의는 물론 통상장관 회의에서도 한국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확대 문제에 대해선 전혀 거론조차 하지 않았다고 전해 쇠고기 문제가 이번 논의에서 아예 제외될 가능성까지 내비쳤다.
이로써 양국 정상이 여러 차례 확인한 것처럼 이번 FTA 협의가 오는 11일 한미 정상회담 이전에 타결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론 커크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한미 통상장관 회의를 열고 FTA 쟁점을 해결하기 위한 막바지 절충을 했다.
김 본부장은 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미국 측은 우리나라의 자동차 안전기준 및 연비, 온실가스 등과 같은 환경기준에 대해 많은 관심을 표명했다”면서 “우리(한국) 시장에서 미국차 시장 점유율이 1%도 안 되는 상황에서 안전·환경기준이 시장진입의 장벽으로 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핵심 쟁점이었던 쇠고기 문제와 관련해서는 “쇠고기 문제는 FTA와 무관하다는 게 우리의 기본 입장”이라면서 “이런 입장에 따라 쇠고기 문제에 대해선 아직 논의가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이 자동차와 관련한 미국 측 요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대신 미국은 한국의 입장을 감안해 쇠고기 문제를 협상에서 제외하는 방식으로 빅딜이 이뤄진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김 본부장과 커크 대표는 8일에 이어 9일에도 통상장관 회의를 하기로 해 이르면 9일 한미 FTA 협의가 최종 타결될 것으로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