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소강상태에 들었던 정국이 예산국회 본격화를 앞두고 다시 살얼음판을 만들고 있다. 여야는 일단 4대강 사업·한미 FTA 등을 놓고 대치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여권은 부자감세 철회논쟁으로 내부 갈등을 예고하고 있다. 검찰마저 ‘청목회 수사’로 정치권과 긴장 관계에 있다.
최대 쟁점은 4대강 예산이다. 민주당 전병헌 정책위의장은 14일 기자간담회에서 “대폭 삭감해 민생예산으로 복원시켜야 한다”며 내년도 4대강 예산의 70%인 6조7000억원 삭감을 주장했다. 한나라당이 수용할 가능성이 없다는 점에서 이는 예산국회의 첨예한 쟁점이 될 전망이다.
손학규 대표가 직접 거론한 한미 FTA 문제도 상당한 갈등 요소다. 손 대표는 이날 “G20 기간 중 야당으로 대여투쟁을 어느 정도 자제했다”며 “이번에 잠깐 보류했지만 양보만 하는 한미 FTA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언했다.
여당 내부도 조용하지만은 않다. 당내 개혁파 의원 45명의 요청에 따라 G20 이후 열기로 한 정책의원총회에서 다루게 될 감세문제가 핵심이다. 이는 안상수 대표, 정두언 최고위원 등 친이계 지도부 간 알력을 이미 유발한 요인이다.
여기에 향후 박근혜 전 대표 등 친박계가 감세철회 ‘찬성’으로 전선 구축에 나설 경우 당내 갈등 격화가 예상된다. 박 전 대표는 최근 기재위 전체회의에서 “앞으로 경기부양보다는 재정건전성 확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감세 철회론에 힘을 실은 바 있다.
검찰의 청목회 수사 강행은 정치 외적인 갈등 요소다. 검찰은 정치권 관련 사건을 G20 이후 재개하겠다는 방침이었다. 민주당 등 야권은 검찰에 대해 ‘대포폰’ 문제로 맞서고 있다. 여당에서조차 대포폰 재수사를 주장하고 나선 상황에 비춰, 정면 돌파로 나갈지 유화적 대응으로 선회할지 검찰의 선택이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