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광고문이나 안내책자 등을 살펴보면 선취수수료, 보수, 환매수수료 등 펀드와 관련된 각종 비용 항목들을 보게 된다. 이러한 각종 비용들은 어떤 근거로 어떻게 부과되는 것일까?
펀드에 가입해 지불하는 비용에는 크게 보수와 수수료가 있다. 보수는 펀드의 운용 및 관리에 대한 대가로 치르는 비용이라면, 수수료는 펀드를 판매하는 은행이나 증권사에 펀드 판매와 관련한 대가로 치르는 비용이다. 펀드의 보수는 판매보수, 운용보수, 수탁보수, 일반관리보수 등으로 나뉜다.
판매보수란, 은행, 증권사 등 펀드를 고객에게 판매하는 금융기관에 지불하는 비용이며, 운용보수는 펀드를 운용하며 돈을 굴리는 자산운용사에 지급하는 비용이다. 수탁보수는 펀드가 투자한 주식이나 채권 등의 자산을 맡아주는 은행 등에 지불하는 비용이며, 일반관리보수는 자산운용서, 일일정산, 전산비용 등 사무관리를 제공하는 대가다.
펀드수수료는 가입할 때 지급하는 판매수수료(대부분 선취)와 만기 이전에 환매할 때에 부과되는 환매수수료로 나뉜다.
이러한 수수료 체계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만든 것이 펀드클래스다. 현재는 클래스A와 클래스C가 거의 대부분인데, 클래스A는 펀드가입 시 선취판매수수료를 부과하는 대신 판매보수를 낮춘 스타일로 적립식 투자 시에 유리하다. 반면 클래스C는 선취 후취 판매수수료를 없앤 대신, 판매보수를 높게 설정한 스타일이다.
장기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면 선취수수료(보통 1%)를 부담해야 하지만 판매보수가 낮은 클래스A가 유리하며, 펀드 투자기간을 1∼2년 미만으로 짧게 보고 있다면 클래스C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최근에는 인터넷으로 가입하는 클래스E도 인기가 많지만 투자전문가의 충분한 투자상담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 취약점으로 꼽힌다. 이제 펀드에 투자할 때에는 그 펀드의 수수료 및 보수가 얼마인지 꼼꼼히 확인해 볼 필요가 있으며, 투자기간 등을 감안하여 나에게 맞는 클래스의 펀드를 선택해야 한다.
/정리=정일환기자
도움말=우리투자증권 PB강남센터 조재영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