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규 검찰총장이 ‘특수통’ 강찬우 검사를 특임검사에 임명해 ‘그랜저 검사’ 사건 재수사를 지시했다. 이에 대해 청목회 수사와 관련해 정치권에 약점 잡히지 않기 위한 사전 포석인 동시에, 검찰의 위상 제고 기회로 삼으려는 것이란 해석이 제기된다.
국회 법사위 관계자는 17일 대검은 “청목회 수사로 검찰에 대한 여론이 지지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자성의 노력도 펴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 여론 지지를 공고히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검은 “청목회 수사와 이번 재수사는 별개 사안”이라는 입장이지만 이처럼 정치적 해석이 분분하다.
앞서 ‘그랜저 검사’ 건을 무혐의 처리하면서 정치권으로부터 ‘제 식구 감싸기’란 비난을 산 검찰 입장에서는 공격의 빌미를 그대로 둔 채 정치권만 몰아세울 수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란 얘기다. 이는 청목회 수사의 동력이 될 국민의 지지를 유지하기 위한 포석이란 의미다.
아울러 김 총장 자신과 검찰 조직의 위상을 일신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다진 것이란 해석도 있다. 김 총장 취임 이후 1년여간 검찰은 ‘스폰서 검사’ ‘민간인 불법사찰 부실 수사’ 등 의혹에 시달려 왔다.
문제는 과연 국민이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낼 수 있느냐에 있다. 한 변호사는 “‘검사동일체’ 원칙이 그대로다. 검찰이 자기 식구를 확실히 죽인 경우를 언제 본 적 있느냐”며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게다가 이번 재수사 결정은 앞서 “재수사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못 박은 노환균 서울중앙지검장의 의사를 엎어버렸다는 점에서 내부적 갈등의 소지도 안고 있다.
무엇보다 이미 ‘대포폰 수사’ 문제란 초대형 악재가 있는 상황에서 이번 사건 재수사 정도로 정치권의 공세를 무력화시킬 수 있느냐 하는 본질적 문제도 검찰은 안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검찰은 이번 재수사로 인해 대포폰에 대해서도 재수사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