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와 국세청, 농림수산식품부, 기획재정부까지 경제관련부처를 총동원해 물가 단속에 나선 정부를 비웃기라도 하듯 장바구니 물가는 11월에도 여전히 급등세를 이어 간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37.4% 상승했다. 이 중 신선채소는 54.8%나 급등, 서민들의 식탁을 옹색하게 만드는 주범이 됐다. 특히 양배추는 9월 144.2%에서 10월 286.2%, 11월 315.3% 등으로 시간이 갈수록 상승 폭이 커졌고 파(113.9%)와 양상추(104.1%), 토마토(104.2%), 브로콜리(93.5%) 등도 지난해 11월의 2배 수준이었다.
정부가 가격 안정에 가장 힘을 쏟은 무와 배추 역시 각각 지난해 11월보다 각각 178.9%, 140.8% 급등해 정책의 약발이 먹혀들지 않는 모습이 나타났다. 마늘도 97.3% 급등해 정부가 깐마늘을 시장에 집중적으로 방출하고 국산 마늘 저가 판매에 나선 효과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하지만 정부는 1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3.3% 상승해 지난달의 4.1%에서 상승 폭을 크게 줄인 것을 부각시켰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전월 대비로는 채소류를 중심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하락한 가운데 공공서비스요금의 인하도 물가 안정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재정부는 8, 9월 채소값이 폭등할 때는 폭염과 잦은 비, 태풍 등 ‘하늘 탓’으로 돌리며 일시적인 현상으로 진단했고, 10월 신선식품 상승률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자 월말의 가격 하락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해명했었다.
11월 물가지수 발표에서도 정부는 실효성 있는 물가 안정 대책보다는 숫자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 우려를 낳았다. 통계청은 이날 “12월에 전월 대비 상승률이 0.1%로 나오면 대략 연평균 2.8%가 되는데 그 이상이면 2.9%로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