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겨울철 딸기’ 맛 좋은 이유?

소모양분 적어 단맛 많고 성숙 길어져 신맛 사라져

매년 이맘때 나온 딸기는 가격은 비싸지만 먹어보면 맛이 제철인 봄보다 낫다.

실제 농촌진흥청이 조사했더니 겨울철 딸기가 당 함량이 높고 신맛이 적어 맛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가 뭘까.

농진청에 따르면 시설재배 딸기는 수확시기에 따라 맛을 좌우하는 당과 유기산 함량에 차이가 나게 된다. 시기별 당 함량의 변화 양상을 품종별로 조사했더니 1월에서 4월로 갈수록 당 함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매향’ 품종의 경우 1월에 비해 4월에 당 함량이 약 17.3% 감소됐다.

이유는 성숙기간의 차이. 겨울철 50~60일 걸리는 딸기의 성숙기간은 봄철에는 온도가 높아져 점차 짧아진다. 겨울철에는 야간의 호흡량이 적어 소모되는 양분은 적은 반면 성숙기간이 길어져 축적되는 양분은 많아진다. 이 때문에 과실이 커지고 당도가 높아지게 된다는 설명이다.

반대로 봄철로 갈수록 성숙기간 단축에 따라 신맛을 내는 유기산 함량이 감소할 시간은 부족해져 신맛이 강해지게 된다. ‘매향’ 품종은 1월에 508ppm이던 유기산 함량이 4월에는 813ppm으로 60% 이상 증가됐고 ‘설향’ 품종은 561ppm에서 723ppm으로 약 30% 정도 증가됐다.

또 따른 이유는 수확시기. 봄철이 되면 익기 전에 수확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농진청 시설원예시험장 정호정 박사는 “추운 겨울에는 과육이 단단하기 때문에 완숙된 후 수확해도 유통에 문제가 없으나 봄철에는 온도가 올라가 과육이 쉽게 물러지기 때문에 70~80% 정도 익은 것을 수확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겨울철에 가장 품질 좋은 딸기를 맛볼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