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초 설 명절을 앞두고 관공서와 대기업체 등 ‘힘 있는’ 기관에서 선물·떡값 안 받기 운동에 적극 나섰다. ‘적발시 중징계’란 강경 조치로부터 ‘반송 센터 운영’ 등 기관별로 다양한 자정 노력이 진행중이다.
서울 구로구청은 25일 주민 등에게 설 명절을 이유로 선물을 받을 경우, 단 한차례만 적발돼도 가격에 상관없이 파면·해임 등 중징계하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 제도를 엄격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성 구청장은 “준 사람은 ‘뇌물을 전했다’고 생각하기 십상”이라며 “이 같은 이해관계를 애초부터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전남 영광군은 공무원노조에서 ‘설 금품 선물 수수 신고방’을 설치하고 청사에 관련 플래카드를 내걸었다. 경북 예천군은 공직비리를 사전 예방을 위한 특별 감찰활동에 들어가기로 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장휘국 교육감 명의로 각급 학교에 ‘청렴 서한문’을 발송해 명절 떡값 수수 관행의 근절 의지를 과시했다.
경찰도 활발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전남경찰청은 예하 각 경찰서에 설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캠페인을 전개토록 지시했다. 각 경찰서 청렴동아리에서도 정문 앞에서 택배 물품 돌려보내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
경북 청송경찰서는 내달 1일까지 청렴동아리 회원들이 어깨띠를 두른 채 민원인들이 선물을 갖고 방문할 경우 정중히 되돌려 보내는 사업을 한창 진행중이다. 인천 서부서 직원들도 자체적으로 명절 선물 안 받기 운동을 실천하고 있다.
대기업체 중에는 9년째 선물반송센터를 운영 중인 포스코가 눈에 띈다. 포스코는 포항·광양·서울 지역 문서수발센터에 선물반송센터를 각각 설치해 내달 7일까지 운영한다. 센터에 접수된 선물은 즉각 반송 처리하고, 반송할 수 없는 물품은 사외에 기증하거나 사내 경매를 통해 사회 공헌기금에 맡긴다. 광양제철소 관계자는 “이해 관계자와 선물을 주고받는 것이 자칫 미풍양속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경계하고자 도입한 이 제도가 어느 정도 정착 단계에 들었다”고 말했다.
LG전자에서는 구본준 부회장이 최근 임직원들에게 ‘설날 명절에 즈음한 당부의 말씀’이란 e-메일을 보내 임·직원들에게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운동의 적극 실천을 당부했다. 구 부회장은 이를 통해 “특히 명절 때는 정도경영 실천을 방해하는 일들이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참여연대 안진걸 민생희망팀장은 “특히 공직사회에서의 캠페인은 사소한 것부터 시작될 수 있는 비리의 싹을 차단한다는 바람직한 의지의 표현”이라면서도 “하지만 함바집 로비 의혹 등에서 보듯 여전히 심각하고 더 큰 ‘보이지 않는’ 비리를 근절할 근본적 제도 마련이 절실하다”고 평가했다.
/장관순기자 k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