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집 걱정없는’ 서울 만든다

2020년까지 공공임대 20만채 등 72만채 공급…주택보급률 95%로

집 걱정 없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서울시의 청사진이 공개됐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7일 서소문청사 브리핑룸에서 2020년까지 임대주택 20만 호를 포함해 총 72만 호의 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뼈대로 하는 ‘2020 서울 주택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0년까지 멸실로 인한 대체 공급분 37만 호, 신규 공급분(순증가분) 35만 호 등 총 72만 호를 공급한다. 이를 통해 주택보급률을 92.7%(2010년 기준)에서 95%로 높일 계획이다. 특히 현재 5%에 머무는 공공임대주택 비율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인 1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장기전세주택을 포함한 공공임대주택을 연평균 2만 호씩 모두 20만 호를 공급해 2020년에는 총 36만 호의 공공 임대주택을 확보하기로 했다.

장기전세주택은 시민의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현재 59㎡, 84㎡, 114㎡ 규모에 50㎡, 75㎡를 추가하기로 했다. 또 광진, 영등포, 도봉, 금천 등 임대주택 비율이 낮은 자치구를 중심으로 다가구주택을 매입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아울러 국토해양부와 협의해 대주택 5가구 이상을 보유한 임대사업자 물량의 20%를 공익임대로 전환하고 임대료를 일부 지원하는 ‘공익임대사업 제도’를 도입해 2014년부터 시행키로 했다. 또 주거복지 차원에서 매달 4만3000원∼6만5000원가량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주택바우처 제도 지원 대상도 현행 8200가구에서 2020년까지 5만 가구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저출산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등 급변하는 시민의 생활 방식을 반영해 전통한옥의 단점을 보완한 ‘도시형 생활한옥’, 일반주택과 의료시설의 장점을 결합한 ‘의존형 주택’ 등 신개념 주택을 보급하기로 했다.

오 시장은 “앞으로 10년간 임대주택을 포함해 다양한 유형의 주택을 공급해 집 걱정 없는 서울을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