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외화 수입업계에 '녹색 경보' 발효

녹색 수퍼히어로물 연이어 흥행 부진

외화 시장에 ‘녹색 경보’가 내려졌다. 녹색 수퍼 히어로를 앞세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들의 연이은 흥행 부진 탓이다.

16일 개봉된 ‘그린랜턴 : 반지의 선택’은 19일까지 나흘간 전국관객 14만2508명으로 주말 흥행순위에서 6위에 그쳤다. 북미 박스오피스에서는 5268만5000달러(약 569억원)를 벌어들이며 정상을 차지한 것과 상반되는 결과다.

DC 코믹스의 원작 만화를 스크린에 옮긴 이 영화는 탄탄한 완성도를 갖췄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3D 수퍼 히어로물의 진화를 일찌감치 예고했다.

1월에 개봉됐던 ‘그린 호넷 3D’도 사정은 비슷했다. 이소룡의 출세작이었던 동명 TV 미니시리즈의 리메이크작인데다, 미셸 공드리 감독 및 주연 세스 로건과 주걸륜의 내한으로 관객몰이가 어느 정도 예상됐다. 그러나 19만6144명이란 저조한 스코어에 머물렀다.

우리에게 비교적 낯익은 녹색 수퍼 히어로 역시 한국 극장에만 오면 맥을 못 춘다. 인기 TV 미니시리즈를 영화화한 ‘헐크’와 ‘인크레더블 헐크’가 대표적이다. 전편은 한미 양국에서 똑같이 실패했고, 속편은 전 세계적으로 약 2억6000만달러(약 2800억원)를 벌어들이며 명예 회복에 성공했지만, 한국에서는 99만명을 동원했을 뿐이다.

영화계는 이들 작품이 흥행에 어려움을 겪은 이유로 주연과 원작의 낮은 인지도를 꼽고 있다. ‘그린랜턴…’은 주인공 할 조던 역의 라이언 레이놀즈가 미국에 비해 한국에서는 덜 유명하다는 게 약점으로 지적받았다. 또 세 편 모두 원작이 인기를 모았던 때가 너무 오래전이라 본토에서와 달리 낯설게 비춰졌다.

한 수입 관계자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일수록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비용 대비 효과가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나는 편이지만, 한국 시장은 예외”라며 “그만큼 영화를 고르는 국내 관객들의 눈이 까다롭다는 것을 뜻한다”고 귀띔했다./조성준기자 when@metroseoul.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