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민주당 도청 사건’이 경찰로 넘겨졌다.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이 지난 24일 국회 문방위 전체회의에서 민주당 비공개 회의 녹취록을 공개한 것을 둘러싸고 도청 의혹이 제기됐었다.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변인은 28일 국회 브리핑에서 “당 대표실 불법 도청 사건과 관련해 제보를 받아 수사기관에 이 내용을 즉각 통보했으며, 철저하고 조속한 수사를 다시 한번 촉구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연석회의에 참석했던 전문위원과 속기사를 이날 경찰에 출석시켜 참고인 조사를 받도록 했다. 경찰은 서울 영등포 민주당사를 찾아 연석회의 때 속기사가 사용했던 녹음기 등을 조사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사실상 ‘범인’을 찾아낸 듯 하다. 홍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도청에 대한 유력한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당 외부로부터 도청행위 자체에 대한 제보가 있었으며,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해 수사기관에 통보한 것”이라고 한다. 민주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KBS 수신료 인상) 이해 관계자가 마이크를 댄 것 같다”고 했다. 또 다른 인사는 “국회 구성원이 관여된 것이 아니라 외부 인사가 개입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도청이 제3자에 의해 이뤄진 것이 아니냐는 얘기인데, 민주당 대 한선교 의원 간의 공방 역시 ‘제3자 범인설’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민주당 천정배 최고위원은 “한선교 의원이 도청했다고 보지는 않는다. 한 의원이 자료를 입수했다면 누가 어떻게 줬는지 밝히면 될 일”이라고 말했다. 한선교 의원은 “내가 도청을 했다면 의원직을 사퇴하겠다. 중간에 녹취록을 준 사람은 한나라당 쪽은 아니고 신뢰할 만한 인물”이라고 말했다.
전반적인 분위기로 미뤄볼 때 범인은 곧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수사 의뢰 등은 그 범인을 드러나게 하는 과정의 하나일 뿐이다. 민주당은 이날 예정된 KBS 수신료 인상안 처리를 막겠다며 국회 문방위 회의실을 점거했다. 도청 파문이 수신료 인상안 처리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주목된다. /이선훈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