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의 시장 점유율이 5달째 요지부동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나설 정도로 보조금 경쟁이 혼탁해졌지만 점유율 변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올 1∼5월 이통 3사의 시장점유율은 50.6%(SKT), 31.7%(KT), 17.7%(LGU+)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
특히 5월에는 번호이동 건수가 94만1234건으로 전달에 비해 늘었지만 점유율 변동 폭은 각각 0.0265%p(SKT), 0.025%p(KT), 0.0015%p(LGU+)로 소수점 첫째 자릿수에도 변화를 주지 못했다.
이처럼 점유율이 요지부동인 것은 시장이 포화상태인데다 보조금을 통한 단말기 할인의 영향력이 미미하기 때문이라는 게 통신업계의 분석이다.
5월 말 기준 우리나라 이동전화 가입자는 총 5175만4056명으로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총 인구(4858만 명)보다 많다. 신규 가입자 유치가 어려운 이런 포화 상태의 시장에서 점유율이 눈에 띄게 변화하려면 최소한 수십만 명의 가입자가 이동해야 한다.
하지만 이동통신 3사에서 판매하는 단말기에 큰 차이가 없는 데다 스마트폰의 유행으로 요금제도 비슷해지면서 가입자 빼앗아 오기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이 고가의 스마트폰을 저렴하게 사기 위해 장기 약정 계약을 하고, 해지할 땐 많은 위약금을 내야 한다는 점도 번호이동을 가로막는 장벽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강지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통신시장 점유율에는 통신망과 브랜드, 단말기, 서비스, 보조금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지금은 모든 요소가 균형을 이룬 평형 상태이기 때문에 점유율이 변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이통사들의 마케팅 방식도 점유율 정체의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통사들은 매일 번호이동 추이를 지켜보면서 타사에 빼앗긴 만큼 타사에서 빼앗아 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한 번 가입자를 잃기 시작하면 점유율이 계속 떨어지기 때문에 방어할 수밖에 없다”며 “마케팅 경쟁을 지양하고 새로운 사업에 투자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내 몫을 지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