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한류 돈벌이’ 눈먼 공영방송

단순히 한류 확산을 위해 기획했다는 공영방송 KBS의 변명은 궁색했다. 한류에 편승해 돈 좀 만져보자는 편이 더 맞는 듯하다.

13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KBS2 ‘뮤직뱅크 인 도쿄 케이팝 페스티벌’을 비롯해 K-POP 열풍을 타고 지난해 말부터 MBC·SBS·KBS 등 방송사들이 속속 개최하고 있는 한류 콘서트에 대한 뒷말이 무성하다. 한류를 돕겠다는 당초의 취지가 무색할 만큼, 속 보이는 상술로 오히려 이미지를 흐렸다는 지적이다.

KBS는 ‘뮤직뱅크…’의 티켓을 평균 1만2000엔(약 16만원)의 고가에 팔았다. MBC ‘한류콘서트’의 티켓 가격도 우리 돈으로 최고 20여만원에 이르렀다.

한류 확산을 위해서라는 방송사들의 해명대로라면 현지 팬들에게 콘서트의 문턱이 높다. 수익금 일부를 기부한다고 했지만, 구체적으로 수익의 몇 %를 내겠다고 밝히지도 않았다.

그렇다고 출연 가수들에게 일반적인 행사 수준의 개런티를 준 것도 아니다. 거대 방송사의 눈치를 보는 데 급급한 대다수 가수들이 적절한 수준의 출연료와 초상권 및 저작권을 요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횡포를 부린 셈이다.

게다가 KBS는 3150엔(약4만2000원)을 받고 인터넷 생중계를 하고, 행사 이름이 새겨진 티셔츠를 3000엔(약 4만원)에 판매하는 등 공영방송으로서의 품위를 저버렸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한류 공연을 기획해 온 공연 기획사는 더욱 울상이다. 여러 가수들을 앞세운 방송사의 물량 공세를 감당하기 힘들어 위기에 처했다. 기존 한류 스타들의 단독 공연도 피해 보긴 마찬가지다.

방송사가 한류 관련 행사를 주최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한류에 도움이 된다면 말릴 이유가 없다. 그러나 본래의 취지를 망각하고 돈벌이에만 혈안이 된 지금의 행태는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