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학생의 직업은 회사원, 교원, 공무원, 의료분야, 자영업, 전문직, 전업주부 순으로 다양하게 분포돼 있다./방송통신대 대학원 제공
반의 반값 등록금으로 대학원을 다닐 수 있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원장 이선옥)이 실용적 학구파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방송통신대 대학원의 한 학기 등록금은 130만원에 불과해 일반대학원 등록금이 500만원 선임을 감안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사이버대학원들의 300만원 선과 비교해도 반값에도 못 미친다.
직장에 다니고 있는 김정진(경영학과)씨는 “대학원에 가고 싶지만 높은 학비는 큰 걸림돌”이라며 “130만원의 학비는 웬만한 학원보다도 저렴한 수준이어서 만족한다”고 했다.
◆8개학과 추가 신설·17개학과 800명 모집
방송대 대학원은 2001년 9월 온라인 교육을 통해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최초의 국립 원격 대학원으로 개원했다. 개원 10주년을 맞이하는 동안 시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배움의 기회를 갖기 어려웠던 국민들에게 전문교육 및 상위 학위 취득 요구를 지속적으로 충족시키며 우리나라 평생교육과 원격교육의 수준을 높여왔다.
2012학년도에는 실용중국어학과, 일본언어문화학과, 법학과, 영상문화콘텐츠학과, 농업생명과학과, 바이오정보학과, 환경보건시스템학과, 청소년교육학과 등을 신설해 17개학과에서 800명의 학생을 모집한다.
◆면대면 스킨십 교육 병행
방송대 대학원의 스킨십 교육방식도 자랑거리다. 원격수업을 보완한 면대면 출석 강의 및 쌍방향 학습이 대표적이다. 강의는 홈페이지 학습관리시스템(LMS) 접속을 통해 강의내용(동영상, PDF, E-stream 등으로 진행)을 제공한다. 교수와 학생 간의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질의 응답이 가능하다. 교수는 개인별 강의 진도율을 확인해 튜터 등을 통해 학습을 지도하고 학생은 자신의 강의 진행상황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또 학기별로 1~2회 정도 관련 분야의 외부 전문가 및 유명 교수를 초청해 오프라인 모임을 갖고 과목세미나, 워크숍 등을 개최하여 토론학습의 기회를 갖는다. 또 지도교수의 철저한 논문수업을 통해 대학원생이 갖추어야 할 전문교육의 내실화에 주력하고 있다.
박희정(가정학과)씨는 “직접 등교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교수님, 튜터 선생님과 소통해 긴밀한 소통을 하고 있다”며 “대학원을 통해 사회에서 필요한 전문가로 거듭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고 했다.
/이국명기자
*실용중국어학과
고급 수준의 실용중국어 실습, 중국어의 교수 학습 방법, 중국 사회 전반의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중국학 분야의 교육을 통해 중국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실용중국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일본언어문화학과
일본인과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언어능력의 구사와 일본사회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을 갖춘 일본언어문화 전문가를 육성하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
*법학과
참다운 국민주권의 발현, 실질적 자유와 평등의 이념의 구현, 국민에 의한 지배를 실천할 수 있는 민주주의 철학과 방법론 등에 대한 과제를 논구할 수 있는 법학자와 법률가의 양성을 기본목표로 한다.
*영상문화콘텐츠학과
3개 중점분야(영상문화 및 미디어 이론/문화콘텐츠 산업 및 정책, 경영/디지털 영상 콘텐츠 기획 및 기술)의 이론과 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교과과정으로 운영한다.
*농업생명과학과
농업생명과학에 관한 최신 이론과 방법을 효율적으로 탐구해 학문 발전과 더불어 국가와 세계의 농업생명과학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농업생명과학 분야 최정예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본 학과의 궁극적인 교육목표이다.
*바이오정보학과
생명과학 분야를 연구하면서 얻게 되는 방대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 능력을 배양하여 이를 통해 바이오정보 분야의 고급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환경보건시스템학과
인간과 자연환경과의 조화 및 인간의 건강을 중시하는 미래지향적 환경보건학을 연구함으로써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새로운 개념의 환경보건관리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청소년교육학과
신세대 청소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청소년교육이론 및 실천영역의 청소년지도, 청소년상담, 청소년복지, 청소년문화, 청소년활동 등의 전공과목을 개설·운영하며, 청소년교육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