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는 더 이상 표현의 자유를 지키는 수호신이 아니다. ‘검열’이란 단어가 트위터에서 논의된다는 것만으로도 명백한 배신이다.”
전 세계 네티즌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혁명의 성지처럼 여겨져 온 트워터에 분노를 쏟아내고 있다. 반체제 인사들의 ‘자유로운 발언대’로 활용되며 중동의 재스민 혁명, 이집트 민주화 혁명 등을 몰고 왔던 트위터가 일종의 검열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하자 네티즌들의 탈퇴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이 같은 논란은 국내도 마찬가지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최근 열린 전체회의에서 불법·유해 정보를 올린 SNS 이용자에게 경고와 함께 자진 삭제를 권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 "욕설·음란정보 사라진다" 찬성의견도
방통위의 접속차단이 결정되면 해당 SNS 계정 소유자에게 메시지(트윗)를 보내 언제 게시된 어떤 글이 왜 불법 정보인지를 알리고, 삭제하지 않을 경우 전체 계정이 차단된다는 내용의 경고를 한다는 설명이다. 이후 만 하루 안에 해당 글이 삭제되지 않으면 ISP에 해당 계정에 대한 접속차단을 요구할 방침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추후 불법 게시물만을 삭제하는 기술이 개발되면 다시 제도를 변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일부 네티즌들은 “과도한 욕설이나 음란정보 등이 사라진다는 점에서 환영한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시선은 곱지 않다.
트위터리안 ‘pooh***’는 “SNS를 검열하겠다는 발상이 누구 머리에서 나왔는지 의심스럽다”고 비꼬았고, ‘hana***’는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오듯이 트위터를 막는다고 위정자들의 뜻대로 모든 것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나는 꼼수다’ 진행자 김용민씨(@funronga)는 “표현의 자유가 침해돼 재판에 설 위기에 놓이시면 연락주세요. ‘쫄지마 프로젝트’로 연결해 드리겠다”라는 글을 올렸다.
트위터 자체에 대한 비난 여론도 확산하고 있다. 앞서 26일(현지시간) 트위터가 블로그를 통해 특정 국가에서 트윗을 차단하라는 요구를 받을 경우 해당국에 한해서 트윗을 차단하고 이를 작성자에게 분명히 고지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중국의 반체제 예술가 아이웨이웨이는 “만약 트위터가 검열을 한다면, 나는 트위터를 하지 않겠다”고 강하게 항의했다. 이집트의 인권운동가인 마흐무드 살렘은 “트위터가 우리(이용자)를 배신했다고 말하는 게 맞다”고 유감을 표했다.
◆ 中 진출 위한 사전작업 의혹
일부 네티즌은 ‘트위터도 일개 기업일 뿐’이라며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 사전 정지작업을 한 것이라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더 나아가 ‘트위터 검열(TwitterBlackout)’이라는 해시태그(트위터에서 특정 키워드 공유 암호)를 이용한 트위터 거부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김기창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무제한으로 쏟아지는 SNS를 심의한다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다”면서 “검열이라는 용어가 나오는 것 자체만으로도 결국 네티즌의 자기검열로 이어져 표현의 자유만 위축할 공산이 크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