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민간 어린이집들이 보육교사 처우개선과 보육료 수납 한도액 인상 등을 요구하며 동맹휴업에 들어가기로 해 맞벌이 가정에 비상이 걸렸다.
법대로 처리하겠다는 으름장 말고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정부의 행태에 당장 아이를 맡겨야 하는 서민들의 속은 타들어가고 있다.
26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민간어린이집분과위원회는 27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전국적인 집단 휴원에 들어가기로 했다. 민간분과위에 소속된 전국 어린이집은 1만5000여개이고 이들 시설이 돌보는 아동은 75만명에 달한다. 따라서 집단행동이 현실화하면 아이를 보육시설에 맡기고 일터로 가는 맞벌이 부부 등의 엄청난 불편이 예상된다.
다만 대전, 광주, 충남, 충북, 전북 지역 어린이집은 집단휴원에 동참하지 않기로 했고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어린이집은 휴원에 동참하더라도 당직교사를 배치하는 등의 임시 조치를 했다는 게 복지부 설명이다.
정부는 민간 어린이집이 집단 휴원에 들어갈 경우 법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휴원을 강행하면 1차 시정명령을 내린 뒤 그래도 지속하면 운영정지, 폐원 조치 등의 순차적 처분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보육지원 확대로 당장 다음달부터 보육시설 부족이 예상되는 상황이라서 정부가 운영정지 등의 조치는 취하기 힘들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당장 코앞으로 다가온 임시휴업에 대해 맞벌이 부모들은 발만 동동 굴리고 있다.
맞벌이라는 네티즌 'chojh***'는 "휴원한다는 사실을 24일 하원길에 아이가 받아온 통신문을 보고 알았다"며 "월요일은 어쩔 수 없이 월차를 썼는데 화요일부터는 어찌해야 할지 답이 안나온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park45***'는 "얼마 전부터 보육교사들의 집단행동이 예고됐었는데 지금까지 정부는 뭐했는지 의문"이라며 "이래놓고도 아이를 낳지 않는다고 젊은 세대를 탓만 할 것인가"라고 불만을 터뜨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