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본격 대결에 앞서 비례대표 명단이 발표되면서 여야가 가져갈 비례 의석수가 관심사다.
19대 총선에서도 비례대표 의석수는 18대처럼 54석이다. 유권자들은 지역구 후보에 한표, 지지정당에 한표씩 '1인2표제'를 행사하기 때문에 비례 의석수를 내다보려면 먼저 정당지지율을 볼 필요가 있다.
최근 여론조사 기관의 추이로 보면 새누리당이나 민주당은 각각 최소 20개 이상은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 자유선진당과 통합진보당도 각각 3~5석 가량으로 예상된다. 국민생각 등 신생정당들도 의석수를 챙겨갈 가능성을 감안한다면 결국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8개 미만의 자리를 놓고 추가적으로 치열한 정당 홍보전을 펼쳐야 한다.
1인2표제를 행사하는 방식은 유권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지역에서 지지하는 후보를 선택하고, 이 후보가 속한 정당을 찍는 이른바 '줄투표'가 일반적이지만, 어떤 유권자는 굳이 지지 후보와 소속이 다른 정당을 선택하기도 한다. 지역구 후보와 지지정당 선택이 다른 '비동기화' 현상이다.
공직선거법은 한 정당이 비례대표 당선자를 내기 위해서는 유효투표 총수의 3% 이상을 득표하거나 지역구에서 5석 이상의 의석을 차지해야 한다. 정당 득표율은 비례대표 배분 기준을 충족한 정당의 총 득표수를 각 당의 득표수로 나눠 산출한다.
지지정당에 따로 투표하는 '정당명부제'는 2004년에 실시된 17대 총선 때부터 도입됐다. 16대 총선까지는 각 당의 지역구 후보자 득표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비례대표를 배분했었다. 2001년 비례대표는 각 당의 지지율을 반영하는 것인데 지역구 후보자 득표 합계로 선출하면 직접투표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2001년 위헌판결이 내려지면서 1인2표제로 바뀐 것이다.
18대 총선에서는 한나라당이 153석, 민주당 81석, 자유선진당 18석, 민주노동당 5석, 창조한국당 3석, 친박연대 14석 등으로 선거법 상 비례대표 기준을 충족했기 때문에, 각 정당이 얻은 정당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수가 배분됐다. 한나라당이 37.5%의 득표율로 22석, 통합민주당이 25.2%로 15석, 친박연대가 13.2%로 8석, 자유선진당이 6.8%로 4석, 민주노동당이 5.7%로 3석, 창조한국당이 3.8%로 2석을 차지했다. /이선훈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