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출신 파이시티 이정배(55) 전 대표는 2004년 서울 양재동의 옛 화물터미너 부지에 복합유통센터를 짓는 '파이시티 사업'에 나섰지만, 인허가가 늦어졌고 용도 변경에 대한 반대 여론 등으로 곤란을 겪기 시작했다. 이 무렵 대우건설의 선배이자 포항 출신의 건설브로커 이동율(61)씨가 등장하게 되고 이씨는 동향으로 당시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회장이었던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서울시 정무국장이던 박영준 전 기획재정부 차관을 연결시켜준다. 이정배 전 대표는 이동율씨 등을 통해 금품을 전달하고 최 전 위원장을 따로 만나는 등 인허가 등 문제 해결을 위해 전방위 활동을 벌인다는 게 지금까지 알려진 파이시티 사건의 개요다.
청와대는 일찌감치 선을 그었다. 한마디로 최 전 위원장이 파이시티 인허가와 관련해 돈을 받았다고 해도 이는 이 대통령과 관계없는 일이라는 주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최 전 위원장이 파이시티로부터 받은 돈을 2007년 대선 당시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확인 결과 경선 때 여론조사 비용으로 공식적으로 사용된 금액은 없었다. 결국 최 전 위원장이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 따로 여론조사를 했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한 것 아니겠느냐"고 말하고 있다.
관계자들은 "2007년 대선 자금 조달은 최 전 위원장 등 측근들이 자체적으로 '스폰서'를 두고 비용을 해결해 왔다"고 전하고 있다. 대선 후보에게 끼칠 영향을 미리 차단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신재민 전 문화부 차관이 당시 대선 캠프인 안국포럼 운영비 명목으로 이국철 SLS 회장으로부터 받은 것도 같은 방식인 셈이다. 결국 "설령 최 전 위원장이 받은 돈을 대선 자금으로 썼다 해도 이 대통령과 캠프는 그 집행 내역을 알 수 없는 구조였다"는 얘기다.
그러나 야당은 '최시중 게이트'로 명명하고, 이슈화를 준비중이다. 특검이나 청문회 등 대선전까지 최대한 문제를 키운다는 생각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도 "모든 걸 법대로 처리해야 한다"고 한 만큼 어떤 형태로든 이 문제는 청와대와 정치권을 한바탕 뒤흔들 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이선훈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