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여전히 인디하면 실험적이라거나 낯선 음악이라는 편견을 갖고 있다.
물론 장기하·십센치·검정치마 등의 활약으로 이같은 편견이 많이 희석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도 인디가 생소한 이들에게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음악은 없을까. 이럴 때 데이브레이크를 추천한다면 확실한 '약발'을 보장할 수 있다.
2007년 '어반 라이프 스타일'로 데뷔한 데이브레이크는 탄탄한 기본기를 갖춘 밴드다. 그룹으로서 지녀야 할 첫 번째 미덕, 즉 연주의 합이 돋보인다는 뜻이다.
2010년 선보인 2집 '오로라'는 강점을 십분 발휘한 작품이었다. 1집에서 들려준 펑키한 그루브를 조금 자제한 대신, 대중적인 멜로디와 신나는 리듬의 안정적인 하모니를 추구해 팬 베이스를 더욱 넓혔다. 그 중에서도 '들었다 놨다' 'Fantasy' '머리가 자란다' 등은 라이브에서 더 많은 호응을 얻었던 노래들로 기억된다.
막 도착한 세 번째 음반 '스페이스섬'에서 이들은 2집 당시에 포착했던 스펙트럼을 더욱 넓혔다. 우선 제목부터가 공간(스페이스)과 합(섬)의 합성어라고 하니, 그들이 이 앨범에서 추구한 바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악기 사용과 더빙을 최대한 줄이는 방식으로 공간감을 부여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호쾌한 발걸음으로 보폭을 넓히며 전진하는 첫 곡 '두 개의 심장'만 들어봐도 감을 잡을 수 있다.
타이틀곡 '실리'도 주목할 만하다. 영롱한 사운드 터치를 강조해 사랑에 빠진 남자의 심리를 잘 표현하는 한편, 중반 이후부터는 속도감을 부여해 듣는 맛을 높였다. 이어지는 '회전목마'는 가장 잘해왔고, 가장 잘할 수 있는 그 무엇이다. 살랑거리는 리프부터가 개성이 명확하다. 그러면서도 각 파트가 튀지 않고 서로를 배려하면서 하나로써 작동한다. 이런 게 바로 밴드 사운드다.
이밖에도 '다 카포' '담담하게' '내려놓다' 등 방점이 찍히지 않은 곳이 거의 없는 수작이다. 버스커버스커의 인기처럼, 봄 날씨에 딱 어울릴 법한 음악들을 1시간 동안 제공한다.
탁월한 라이브 실력으로 마니아층을 거느리고 있는 데이브레이크는 갈채를 받을 자격이 있는 밴드다. 바로 그들의 음악이 이것을 확실하게 증명한다. /배순탁(음악평론가·MBC '배철수의 음악캠프'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