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해빙모드에 돌입했던 불교계와 MB정부 간의 갈등이 다시 심화되고 있다.
민간인 불법 사찰이 불교계에도 이뤄졌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불교계가 잇따라 강도 높은 비난 성명을 발표하며 강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조계종은 12일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권초기부터 특정 종교편향 논란을 일으켜온 이명박 정부는 불교 파괴 정권"이라며 "불법 사찰을 축소 은폐할 경우 현 정부에 대해 정법의 회초리를 들겠다"고 경고했다.
조계종 중앙종회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국무총리실과 서울중앙지검을 방문해 진상을 규명과 사과를 요구하는 항의 서한을 전달하며 "2000만 불자와 종도들을 대신해 불교계를 대상으로 한 현 정부의 반민주적 불법사찰과 정치공작을 규탄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갈등은 민간인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이 조계종 지관 스님과 보선 스님에 대한 사찰 자료를 확보해 사실관계를 파악했다고 이날 밝혔기 때문이다.
지관 스님은 2005년부터 2009년 말까지 조계종 총무원장을 지낸 뒤 올해 초 입적했고, 보선 스님은 2008년 말부터 조계종 입법부인 중앙종회 의장을 맡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사찰 문건에서 지관·보선 스님 외에는 다른 불교계 인사가 드러나지 않았고, 사찰 내용이 단순 동향 보고일 뿐 미행이나 강요 행위가 확인되지 않아 사법처리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계종 중앙종회는 "검찰이 조계종에 불법사찰을 확인하는 전화를 했는데도 전화한 사실조차 부인하고 있다"며 변명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이에 "2008년 미행이 이뤄지고 있다는 추측을 했었는데 이번 검찰 조사를 통해 확인이 됐다"며 "불법적으로 수집, 작성한 보고서 일체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검찰은 방송인 김미화(48)씨에 대한 불법사찰 문건도 확보해 사찰 피해 여부를 조사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