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대권 주자 비박 3인방이 일제히 경선 룰의 변화 없이는 경선 참여가 어렵다고 밝혔다.
반면 최고위원회의는 현행 경선 룰에 따라 8월 20일 대선후보를 선출하는 당 경선관리위의 결정을 그대로 확정짓기로 했다.
24일 김문수 경기지사와 정몽준 전 대표, 이재오 의원은 각각 현행 경선 룰에 대해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김문수 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은 대한민국의 정치개혁과 선거혁명, 기득권자의 정치를 국민정치로 돌리기 위한 제2의 6ㆍ29 선언을 해달라"며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재차 촉구했다. 이어 오픈 프라이머리가 안되면 경선에 불참하겠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했다.
정몽준 전 대표는 "독립적인 경선 룰 논의기구가 무산되면 경선에 나서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변화된 시대 흐름을 반영하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것인가"라며 지도부와 친박 측을 겨냥했다.
전날 경선 룰 변경이 전제되지 않으면 경선 참여가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쳤던 이재오 의원은 박 전 위원장에 대해 "1인 장기 집권인 유신보다 더 하다"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이에 대해 당의 입장은 강경하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2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선관리위의 결정사항을 논의, 확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선관리위는 현행 경선 룰에 따라 8월 19일 대선후보 선출 경선투표를 실시한 뒤 다음날인 20일 후보자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불거진 경선 무산 우려에 대해 막판 타협이나 중재의 가능성이 전혀 없지 않다는 관측이다. 한 당 관계자는 "만약 경선 자체가 무산된다면 '박근혜 대세론'에도 타격이 불가피하고, 비박 주자들의 당내외 입지 또한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또 '단일화를 통한 미니경선' 언급도 3인방의 입장 차이가 달라 언제까지 지금같은 일치된 모습을 유지할지 의문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