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민주통합당의 '룰 전쟁'이다. 대선후보 경선규칙 확정을 하루 앞둔 17일 결선투표를 도입하느냐의 문제를 놓고 문재인 상임고문과 비문재인 주자 간 날선 대치를 펼쳤다.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손학규·정세균 상임고문과 경선 불참도 논의할 수 있다며 공세를 펼쳤다. 추미애 기획단장은 전날 결선투표제 도입을 최고위원회의 정치적 결단에 위임했다고 밝힌 뒤 "당헌에 결선투표를 명문으로 금지한 것은 없다"며 비문 주자들을 달래는 제스쳐를 취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가능하겠느냐는 시각도 적지 않다.
결선투표 도입을 가장 강하게 주장하는 후보는 김 전 지사다. "지금의 룰은 특정 후보에게 매우 유리하게 돼 있다"는 주장이다. 손 고문도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소통해 합의를 하면서 경선 방식을 만들어 내느냐가 중요하다"면서도 "모바일선거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김 전 지사를 거들었다.
문병호(김두관)·조정식(손학규)·최재성(정세균) 의원 등 비문 세 주자 측 대리인들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만나 "당 지도부는 경선 룰을 일방적·졸속적으로 결정해서는 안 되며 대선주자들의 의견을 존중해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면서 당무회의 연기와 경선 룰 합의를 위한 공개 토론회 개최를 요구했다. 그러자 이해찬 대표가 이들을 만나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적으로는 당이 결정하겠다"면서 18일 오후로 예정된 당무위원회에서 경선 룰을 확정할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했다.
팽팽한 줄다리기가 펼쳐지겠지만, 일정 부분 양보를 통해 접점이 찾아질 것이라는 전망도 없지 않다. 문 고문이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처럼 당 주도권을 쥐고 있는 것도 아닌 데다 친노무현 진영이 새누리당의 친박근혜 진영처럼 위력을 보유하고 있지도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에서다. 결국 문 고문 측이 힘으로 밀어붙이기는 쉽지 않다는 얘기다. 귀추가 주목된다./이선훈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