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제값 못하는 수입 선크림

성분 비슷한데도 최대 28배 비싸…자외선차단지수 속이기도

같은 성분을 사용한 자외선차단제(썬크림)의 가격이 최대 28배나 차이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산보다 5∼7배 비싼 일부 수입 썬크림의 기능이 포장에 표시된 것보다 떨어진다는 조사결과도 나왔다.

소비자시민모임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34개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자외선A차단등급(PA), 미백성분함량을 검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우선 소시모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해 SPF 50이상, PA +++인 제품 21개 제품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10㎖당 단위가격은 '시슬리 쉬뻬 에끄랑 쏠레르 비자쥬 SPF50+'은 5만원으로 '홀리카홀리카 UV 매직 쉴드 레포츠 선(1780원)'에 비해 약 28배 비쌌다.

'잇츠스킨 2PM 선 블록' 등 6개 제품은 미백기능이 포함됐는데도 단위가격이 2800원으로 시슬리 제품에 비해 18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SPF·PA 수치를 속인 제품도 있었다.

클라란스 제품은 SPF가 40이라고 표시됐지만, 측정값은 절반에도 못미치는 18이었고, PA 등급은 '+++'로 표시됐지만 실제로는 한등급 아래인 '++'였다.

록시땅 제품도 SPF가 40으로 표시됐지만 실제 SPF는 절반을 조금 넘는 22로 조사됐다.

그런데도 클라란스과 록시땅은 자외선차단효과가 비슷한 국산제품 미샤 '마일드 에센스 선밀크'(70㎖, 1만9800원)보다 10㎖당 가격이 5∼7배 비쌌다.

SPF는 피부암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B를 차단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높을수록 자외선 차단효과가 크다. 피부노화를 유발하는 자외선A 차단도를 표시하는 PA등급은 '+'가 많을수록 효과가 높다.

소비자시민모임은 "가격이 비싸다고 해서 자외선차단 효과가 더 높은 것은 아니다"며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효과가 좋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