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 공천헌금 의혹에서 비롯된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 주자들의 '경선 보이콧' 파문이 일단 이틀 만에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새누리당은 5일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황우여 대표 및 김수한 경선관리위원장과 김문수 경기지사, 김태호 의원,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 안상수 전 인천시장,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등이 모인 '5+2 연석회의'를 통해 경선을 정상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지난 3일 밤부터 경선을 보이콧해온 김 지사, 김 의원, 임 전 실장 등 3인은 6일 서울 합동연설회를 시작으로 경선에 다시 합류키로 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회의에서 공천과 관련된 금품수수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황 대표가 책임을 지고, 금품수수 의혹과 관련된 철저한 진상조사를 위해 각 후보가 추천한 1명을 포함해 10명 이내의 진상조사위를 구성해 철저하게 진상이 밝혀질 있도록 노력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는 검찰수사를 통해 총선 당시 공천위원을 지낸 현기환 전 의원이 현영희 의원으로부터 공천을 대가로 금품을 받은 사실이 확인될 경우 황 대표가 사퇴하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갈등의 '불씨'가 완전히 꺼졌다고 속단하기에는 이르다. 일단 검찰 수사 결과, 공천헌금 의혹이 일부분이라도 사실로 드러날 경우 황 대표의 사퇴가 불가피하다. 그럴 경우 대선을 불과 4개월여 앞두고 당 전체가 심각한 혼란에 빠져들 수 있는 것이다.
또 후보 추천자들이 주축이 된 진상조사위가 공천헌금 관련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박 전 비대위원장 시절에 진행된 4·11 총선의 공천 과정에 대한 의혹을 제기할 경우 남은 경선 기간 내내 박 전 위원장은 공세를 피해가기 힘들 수도 있다.
당의 한 관계자는 "'반쪽짜리 경선'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면했지만, 검찰수사 결과나 진상조사위 활동에 따라 당이 다시 한번 소용돌이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