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인기 웹툰 작가 강풀 "'이웃사람' 흥행 성공, 감이 와요"



인기 웹툰 작가 강풀(38)은 자신의 작품을 영화화한 '이웃사람'의 22일 개봉을 앞두고 눈빛을 반짝였다. "오후 10시부터 숙면을 취해 체력을 보충하고, 에너지 음료도 한 캔 챙겨 마셨다"며 너스레를 떤 뒤 "나쁘지 않았다는 얘기는 듣고싶지 않다! 좋았다고 해 달라"고 당부했다.

▶ "영화 보는 순간 원작 잊어주길"

2007년 연쇄살인사건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그 때 수상했던 그 남자가 알고 보니 유영철이었다'는 괴담이 유행처럼 번졌다. 이같은 괴담과 더불어 '이웃 중 누군가는 살인자를 눈치채지 않았을까'란 생각으로 만든 작품이 '이웃사람'이다.

그 어느 때보다 영화의 성공을 확신하는 이유는 만족스러운 출연진 덕분이다. "(마)동석 형이 사채업자 역에 캐스팅됐다는 얘기를 듣고는 무릎을 치며 좋아했죠. 얼굴만 봐도 느낌이 오잖아요. 하하하. 가장 놀라웠던 건 김윤진 씨의 합류 소식이었습니다. 작은 역할인데도 선뜻 나서줘 고마웠죠."

두 번째로 카메오 출연을 경험하면서 연기력도 일취월장했다고 큰 소리를 쳤다. 가방 가게 주인 역의 임하룡과 호흡을 맞췄는데, 상대의 '차진 애드리브'에 맞춰 단 두 테이크만에 오케이 사인을 받았다고 자랑했다.

앞서 '아파트' '바보' 등 자신의 웹툰을 원작으로 한 영화가 꾸준히 제작됐지만, 흥행 여부는 매번 높은 관심사다. "작품의 영화화는 애지중지 키운 딸을 시집보내는 것과 같기 때문에 잘 되길 바라는 건 당연한 마음"이라며 은근한 욕심을 내비쳤다.

구체적인 목표 관객수 언급은 피했지만, 예상 관객수를 되묻고는 흐뭇한 미소를 감추지 못했다. "'강풀 원작 영화의 가장 큰 적은 강풀 만화'라는 말이 있더군요. 영화를 보는 순간만큼은 웹툰을 잊어주시길 부탁드려요. 만화는 제 작품이지만, 영화는 감독과 제작진의 몫이니까요."

▶ 강풀 표 웹툰의 모든 것

연재 전 평균 3~4개월에 걸쳐 대사와 지문까지 완벽하게 글로 쓴 뒤, 정해진 결말을 끝까지 지키는 게 '강풀 표 스토리툰'의 성공 비결이다. 작품의 모든 배경이 실존 장소라고 단언할 만큼 치밀한 취재 과정도 빼놓을 수 없다. 태어나서 한 번도 아파트에 살아보지 않은 그가 아파트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두 편이나 연재할 수 있었던 이유다.

그러나 처음부터 스토리툰을 그렸던 것은 아니다. "처음에는 '일쌍다반사'라는 생활툰으로 이름을 알렸어요. X 싸는 얘기부터 토 하는 얘기까지 그야말로 'X'으로 뜬 만화가죠. 이후 포털 사이트의 연재 제의를 받으면서 '순정만화'를 시작했고, '유기적으로 완성된 만화'를 그리고 싶다는 욕심이 들더군요. 앞으로도 계속 스토리툰을 고집할 생각입니다."

영화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만화가이지만, 한 번도 영화화를 염두에 두고 작품을 그린 적이 없다. 만약 그랬다면 '이웃사람'처럼 등장인물이 많은 작품이나, 노인이 주인공인 '그대를 사랑합니다'와 같은 작품은 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고개를 저었다. 언제나 재미를 최우선으로 생각했고, 그럴 수 있었던 힘의 원천은 10년 동안 10편의 작품을 하면서 쌓아온 독자와의 유대뿐이라는 설명이다.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 달리 자신의 철학을 작품에 의도적으로 드러낸 적도 없다. 유일한 예외는 '그 사람'의 이야기를 담은 '26년'이다. 수 차례의 제작 무산 등 갖은 우여곡절 끝에 크랭크인에 돌입한 이 작품은 올 하반기 개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이 영화를 위해 너무 많은 사람들이 고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출연을 결심해 준 연기자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며 "'26년'의 필름이 돌아가는 순간이 오면, '폭풍 홍보'의 진수를 보여주겠다"고 다짐했다.

·사진/서보형(라운드테이블)·디자인/양성희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