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필름리뷰 : '깨알 웃음'속 큰 감동 있는 '미운 오리 새끼'



대한민국의 평범한 남자라면 누구나 군대 시절을 기억한다. 그러나 추억하고 싶어하진 않는다.

젊은 날 해 볼만 한 경험이었다고 포장하기 어려운 이유는 일방적인 지시와 맹목적인 복종만이 오가는 조직의 특성에 어쩔 수 없이 길들여져야만 했던 당시의 자신을 떠올리기 싫어서일 것이다.

30일 개봉될 '미운 오리 새끼'는 상식이 통하지 않던 시대와 집단에서 상식 이하의 인간적 대접을 받을 수 밖에 없었던 청춘들을 통해 거꾸로 실낱같은 희망을 말한다.

암울한 1980년대 후반, 군부 정권의 고문으로 정신병에 걸린 사진기자 출신 아버지(오달수)를 둔 낙만(김준구)은 6개월 방위(단기사병)로 헌병대에 배치받는다.

군기 센 헌병대에서 방위란 이유로 기간병들의 멸시와 천대, 오만 잡일에 시달리던 낙만은 탈영해 중죄를 짓고 영창에 수감중인 행자(문원주)를 만나 우정을 주고 받기 시작하지만, 말도 안 되는 누명을 뒤집어 쓰고 위기에 처한다.

연출자인 곽경택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가 녹아든 에피소드들은 갓 잡아올린 생선처럼 펄떡펄떡 살아 숨쉬며 크고 작은 웃음을 쉴 새없이 선사한다. 일부 여성들은 '뭐 저런 데가 다 있어'란 의문을 품을 지도 모르겠지만, 오래전 군 복무를 마친 남성들은 '맞아. 정말 그랬지'라며 킥킥댈 것이고 그 외의 관객들은 개그 프로그램을 시청하듯 아무 생각없이 폭소를 터뜨릴 만하다.

웃음을 앞세웠지만, 감춰진 메시지는 꽤 진지하고 따뜻하다. 영창에 수감된 아들을 만나기 위해 스스로의 감옥을 벗어나려 애쓰는 아버지의 모습에서, 부조리에 순응하면서도 조금씩 성장해 가는 주인공의 내면에서 희망과 내일이란 두 글자가 읽힌다.

낙만 역의 김준구 등 곽 감독이 지난해 '기적의 오디션'을 통해 발굴한 주요 출연진의 연기는 줄거리와 맞물려 편안하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배우 조련에 능한 곽 감독의 장기가 이번에도 통했다.

큰 기대 없이 보러 왔다, 큰 감동을 안고 돌아가기에 충분한 작품이다. 15세 이상 관람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