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직업확대경>직업상담사 "게임 폐인 한달 상담 끝에 취업"



9298개.

올해 초 한국고용정보원이 펴낸 '한국직업사전'에 등재된 직업명칭수다. 이렇게 많은 직업 중 정작 일반들이 알고 있는 것은 기껏 100여 개에 지나지 않는다. 구직자들이 도전해볼 만한 직업이 얼마든지 있다는 이야기다. 메트로신문은 구직자들의 현명한 선택에 도움을 주기위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알짜직업을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다.

'직업상담사'가 유망직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지난 4월 고용노동부가 2020년까지 230개 직업을 대상으로 인력수급전망에 따른 유망도를 분석한 결과, 직업상담사가 1위를 차지했다.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직업에 대해 상담수요가 급증할 것이란 분석이다. 취업포털 커리어의 황은희 팀장을 만나 직업상담사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봤다.

▶주로 어떤 일을 하나요.

▶▶직업소개·상담은 물론 직업·진로 관련 검사 실시 및 해석, 직업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강의 등 직업과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담당한다. 직업선택에서부터 직장 적응, 은퇴 후 설계 등 전 생애에 걸친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서포터즈라 생각하면 보다 이해하기 쉽다.

일하는 곳도 다양하다. 커리어와 같은 취업업체는 물론 고용노동부 고용센터, 인력은행, 시·군·구청 취업정보센터 등 관공서, 여성·청소년·노인관련 단체, 대학교의 취업정보센터, 유무료 직업소개소, 기업체 심리상담소 등에서 5000명 이상의 직업상담사가 활동하고 있다.

▶필요한 스펙은.

▶▶심리학, 상담학, 사회복지학, 경영학 등 관련 전공자가 유리하기 하지만 최근들어 다양한 전공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예를들어 공대출신 직업상담사는 IT업체 직장인들에 대한 상담업무를 특화시키기도 한다.

관련 자격증도 직업상담사, 사회복지사, 청소년상담사 등이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한가지 팁을 얘기하자면 일단 보조 상담사 등으로 경력을 쌓으면서 필요한 전공이나 자격증을 따는 것이 유리하다.

▶연봉이나 처우는 어느 수준인가.

▶▶초봉은 일반 초대졸 사무직 정도 수준으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경력·경험·역량 등이 쌓이면 연봉 상승률이 다른 업종에 비해 높은 것이 매력이다. 개인 상담보다는 집단 프로그램운영이나 강의 등에 대한 노하우를 갖춘다면 보다 많은 연봉을 받을 수 있다.

근무시간이 다른 업종에 비해 자유롭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프리랜서는 물론 한 달에 2주 근무, 탄력근무제 등 근무조건도 매우 다양하다.

▶직업상담사로서 보람이 있다면.

▶▶절망에 빠져있던 사람들에게 희망을 찾아줄 수 있다는 점을 들고 싶다. 취업의지가 떨어져 있는 니트족이나 장기구직자에게 구체적으로 삶을 되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몇 년 전에는 한 어머니가 3년 동안 집안에서 게임만 하던 30대 아들을 데리고 온 적이 있었다. 처음에는 눈도 마주치지 않았었는데 한 달 가까이 꾸준히 상담을 하니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기 시작했고 결국 취업도 하고 결혼까지 했다.

자신이 가진 재능과 역량을 발휘해 이렇게 보람된 일을 할 수 있는 직업은 거의 없을 것이다.

▶직업상담사가 되려는 후배들에게 조언한다면.

▶▶학점·자격증 등 스펙이 전부라는 환상부터 버려라.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이 분야는 무엇보다 실전 경험이 중요하다. 모든 것에 대해 열려있는 마음으로 다양한 경험을 쌓아야 한다.

이를 통해 자신만의 장점을 차별화시킨다면 직업상담사로서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