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인 투표 시간을 연장하자는 움직임이 대선을 앞두고 또 하나의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민주통합당 우원식 원내대변인은 23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국민주권 보장·투표율 제고·공정한 선거를 위해 투표일을 법정공휴일 지정하고 투표시간 연장, 철제투표함 사용 등 제도적 보완책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새누리당에 논의하자고 공식 제안한다"고 밝혔다.
우 원내대변인은 "낮은 투표율은 정치 무관심과 같은 개인적인 사유보다 투표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 사회 제도적 문제에 기인한다"며 "국민의 참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여야가 있을 수 없다. 새누리당이 협상에 즉각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신경민 의원은 이날 트위터에서 '투표일은 세일이라 더 바빠 (투표를) 찍을 수 없다'고 한 지역구 마트 근무자의 말을 전하며 "투표 당일 시간 연장은 물론 부재자 투표일 시간 연장, 방법 다양화 등을 검토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투표시간 연장에 대한 인터넷 여론도 뜨겁다.'참된길'이란 닉네임의 네티즌은 지난 20일부터 다음 아고라에 '투표 좀 하자-투표시간 밤 10시까지 연장'이란 제목으로 이슈 청원을 진행 중이다. 4일째인 22일 오후 4시10분 현재 10만77명이 서명하며 정치권에 투표시간 연장을 압박했다.
새누리당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예산 부족과 사회적 비용 증가 등을 이유로 반대 입장에 서있다. 이들은 "투표일이 공휴일이라 아무 때나 투표를 하면 된다" "1~2년 유지해온 제도가 아니기 때문에 그냥 관례대로 놔둬야 한다" "국민들이 밤새 개표를 지켜보는 사회적인 비용도 감안해야 한다"는 등 이유를 들어 투표 2시간 연장법안에 반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가 이 법안을 상정했으나 새누리당 소속 고희선 법안심사소위원장이 의결을 미루고 정회하는 바람에 법안 통과가 무산됐다.
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노동자 수백만명은 회사 눈치를 봐가며 투표하거나 아예 투표를 포기한다"며 "새누리당은 많은 국민의 투표 참여가 자신에게 불리하다고 여김으로써 스스로 국민을 대표하지 않는 1% 특권집단임을 고백하고 있다"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