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선 최대의 흥행카드로 부각된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대통령 후보의 단일화가 묘한 파열음을 내고 있다.
안 후보는 10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강연을 마친 뒤 민주당을 탈당, 안 후보 캠프에 합류한 송호창 의원이 '단일화를 가장 큰 소임'으로 꼽은 데 대해 "각자가 역할을 충실하게 해야한다"며 "(단일화와 관련한) 모든 판단은 국민 몫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선 정치쇄신 후 단일화 논의라는 기존 입장을 거듭했다.
안 후보 측 유민영 대변인도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지난 1년 간 '안철수현상'을 만든 국민의 기대는 정권교체와 정치개혁을 다 이룰 수 있는 후보를 원한 것"이라며 "지금 이대로 가자는 것이냐는 생각이 드는데 이는 국민의 기대와 다르다"고 말했다.
앞서 이해찬 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문 후보 측은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정당 지원이 필요하다"며 무소속 대통령 불가론 등을 제기하며 꾸준히 단일화를 요구했다.
단일화에 대한 문-안 후보측의 엇박자는 논의 개시 시점에도 영향을 미쳤다. 문 후보 측은 10월 하순부터 단일화 논의를 해야한다는 입장이나 안 후보 측은 "단일화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다(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는 입장에서 변함이 없다.
반면 문-안 후보 단일화가 정책면에서는 공감대를 이루고 있어 일단 논의가 시작되면 순조로울 것이라는 희망섞인 전망도 나온다.
안 후보측이 준비중인 '미래기획부 신설'이 문 후보가 후보 수락연설에서 밝힌 '책임총리제'와 흡사해 정치 혁신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안 캠프에 합류한 송 의원으로 인한 긴장관계도 곧 풀려 단일화 논의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