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단일화
야권 대통령 후보 단일화와 관련,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측과 안철수 무소속 후보측의 파열음이 계속되고 있다.
문 후보 측은 후보 단일화에 냉랭한 안 후보측에 끊임없는 러브콜을 보내며 '단일화' 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고심했다.
문 후보 측 진성준 대변인은 16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후보 단일화에 대한 안 후보의 생각이 무엇인지 갈피를 잡기 어렵다"며 "단일화와 연대·연합이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고 반문했다.
안 후보 측이 15일 "정확한 표현은 (후보) 단일화가 아니라 연대나 연합"이라고 한 데 대한 반응이다.
그는 또 "공동정치혁신위원회와 2자 회동이야말로 정치 혁신과 경제민주화 실천을 위한 공동 실천이자 연대·연합"이라며 "안 후보 측은 공작정치의 구태를 버리지 못하는 새누리당과 박근혜 후보에게 도대체 무엇을 기대하고 3자회동만 주장하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그러나 진 후보는 오후 브리핑에서는 "단일화 문제가 정치공학 또는 선거 전략으로 해석되고 양 후보 간에 이견과 주도권 다툼으로 비치는 것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톤을 바꿨으며 정치혁신위와 관련해서도 "단일화 전 단계로 제안한 게 아니다"며 한 발 물러섰다.
안 후보 측은 단일화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면서도 조건격으로 내건 '정치혁신과 국민의 동의'에 대한 윤곽을 제시했다.
안 후보는 이날 한 토론회에 참석하기 앞서 '어떻게 해야 정치혁신이 되냐'는 질문에 "국회 개원 당시 첫째로 양당에서 (제기)했던 게 국회의원의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는 것이었다"며 "먼저 국회 자체적으로이야기를 꺼낸 것부터 해결해주시는 게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안 캠프의 김성식 공동선대본부장도 이날 "(국민들은) 정당이 지역 대결을 기반으로 한 기득권 구조를 이대로 계속 끌로 가는 것에 대해 문제를 삼는다"며 지역을 기반으로 한 기득권 구조 타파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