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농업협동조합 임직원들의 대출이자 특혜가 국정감사에서 지적된데 이어 수산업협동조합도 임직원 자녀에게 지급하고 있는 장학금이 어민자녀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의 무려 1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 새누리당 홍문표 의원은 19일 수협 국정감사에서 "자사 임직원들에게는 편법을 동원하며 지원에 나서는 수협이 일반 어민들을 위한 지원에는 인색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홍 의원에 따르면 수협의 어민 자녀 학자금 지원은 최근 5년간 449명, 8억9000만원에 불과했지만 임직원 자녀에게 지원된 학자금은 5년간 5546명, 총 118억6700만원에 달했다.
수협 중앙회는 감사원의 거듭된 지적으로 2010년까지 지원하던 대학생 자녀학자금제도를 중단했지만 2012년 4월2일 노사가 맺은 보충협약서를 통해 현재 대학생 학자금 지원을 추진 중이다.
64개 회원조합의 경우에도 감사원 지적과 별개로 조합 임직원의 중·고·대학생 자녀 학자금을 5년간 5546명, 총 118억6700만원을 지급했다. 특히 7개 조합의 경우 적자 경영인 상태에서도 2억3000만원의 장학금을 지원했다.
홍 의원은 이와 함께 어민들의 소득감소로 어업 인구가 최근 30년간 무려 81% 급감했음에도 어민을 위한 조직인 수협의 임직원은 5264명에서 8049명으로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어민의 수가 1980년 84만4000명에서 올해 15만8000명으로 급감했음에도 같은 기간 수협 임직원은 8049명으로 약 3000명 증가했다"며 "수협이 어민 지원은 뒷전으로 한 채 수협 임직원 배불리기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민주통합당 김우남 의원은 같은날 국감에서 "수협 회장의 급여가 비상임화 이후 더욱 더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2010년 12월부터 수협 회장이 비상임직으로 전환됐지만 2010년 2억900만원이던 회장의 보수는 2011년 2억7000만원으로 올랐다. 수당인 월 1400만원의 어정활동비(월 1400만원)비가 신설된데 따른 것이다.
김 의원은 "수협은 기존의 업무추진비를 대체한 것이라고 하지만 어떤 변명을 해도 이것이 회장의 근로소득으로 귀속되는 보수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며 "2010년 회장의 월 평균 업무추진비 사용액이 어정활동비의 20%에 불과한 월 280만원임을 보면 변명이 너무 궁색하다"고 지적했다.
수협은 지난 2001년 1조1581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돼 비상경영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올해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총 32억원의 특별상여금을 지원하고 16억원어치의 아이패드와 갤럭시 탭을 전 직원에게 지원했다.
특히 수협은 감사원에서 방만한 복리후생제도를 지적받은 후인 지난해 1월 사원복지연금과 연·월차수당 등을 폐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곧바로 부가급 항목을 신설, 삭감된 수당 195억원을 임직원들에게 편법으로 보전해줬다. /신화준기자 shj5949@metroseuo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