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25일 단일화 전쟁' 서막이 올랐다.
겉으로 드러난 단일화 논의 개시 시점은 사실상 단일화 방식과 연관돼 있어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는 양상이다.
이낙연 민주당 중앙선대위원장은 31일 충북도당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후보 단일화는 후보등록전인 (다음달) 24일까지 완료해야 한다"고 단일화 논의 시점을 못박았다.
안 후보 측이 단일화 논의 시점을 정책공약집 발표(11월 10일) 이후로 미룬 것에 대해 이학영 공동 선대위원장은 "(정책구상과 단일화 논의를) 분리할 필요는 없다"며 정책구상과 단일화 논의를 투트랙으로 가져갈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반면 안 후보 측 정연순 대변인은 "캠프에서는 이 약속(11월 10일 정책공약집 발표)을 지키기 위해 밤을 새가며 공약을 다듬고 후보도 조율한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다.
이같은 온도차는 국민참여경선과 여론조사라는 단일화 방식과 직결된다. 문 후보 측에 유리한 국민경선은 선거인단 모집 등 준비에 열흘 이상 걸린다. 문 후보 측이 단일화 논의를 서두를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조직세가 약한 안 후보 측에는 여론조사 방식이 유리하다. 여론조사 방식은 준비기간이 비교적 짧다. 논의 시간이 촉박할수록 단일화 방식으로 선택될 확률이 높다는 게 안 후보 측 판단이다.
일례로 2002년 노무현 정몽준 후보 단일화 당시 여론조사 방법을 채택, 나흘만에 단일 후보를 결정했다.
한편 서병수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이날 "안 후보는 번번히 문후보에 딴지를 거는 꼼수정치의 전형을 보여왔다"고 했고 "문 후보는 (안 후보에게) 다음주부터 구체적인 후보단일화 협상에 나설 것을 읍소하는 구걸정치에 나섰다"고 야권의 단일화 논의를 싸잡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