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단일화 방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단일화 협상 시한으로 정한 후보등록일(25~26일) 전까지 19일 가량이 남았다. 문 후보 측은 조직 가동이 가능한 국민참여경선에 무게를 두지만 최소 10여일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조직이 없는 안 후보 측은 여론조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양자 TV토론 후 여론조사나 두 후보의 담판으로 단일 후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문 후보 측 김부겸 선대위원장은 7일 의원총회에서 "단일화 방식에 관한 원칙을 공유하는 게 중요하다"며 국민참여 보장, 국민의 알 권리 충족, 국민과 통합 등 단일화 방식의 3대 원칙을 제시했다.
김현미 제2소통본부장은 "공동선언이 마무리되는대로 이번주 말이나 다음주 초 정도에 양자 TV토론을 추진해 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안 후보 측 송호창 공동선거대책본부장은 "철학과 원칙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며 구체적인 단일화 방식에 대한 언급은 피했다.
담판 가능성에 대해서는 각각 "두 사람이 단독으로 만나서 전격적으로 처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문 후보 측 신계륜 특보단장)거나 "모든 가능성은 다 열려있다고 봐야 한다"(안 후보 측 김성식 공동선대본부장 )고 말해 관심을 모았다.
두 후보가 합의문에 명시한 '국민연대'의 형태에 대해서는 '신당 창당' 수순으로 가게 될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됐다.양측은 "지지 세력을 통합할 수 있는 틀"이라고 규정하면서도 "구체적인 것은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공동합의문에 명시한 '새정치공동선언' 실무팀으로 문 후보 측에서는 정해구 새로운정치위원회 간사(성공회대 교수·팀장)와 김현미·윤호중 의원을 인선했다. 안 후보 측은 김성식 공동선대본부장(팀장)과 심지연(경남대)·김민전(경희대) 교수가 발탁됐다.
양 측은 8일 첫 회동을 할 예정이며 이르면 2~3일 내 새정치공동선언문에 합의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