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대출액이 고작 이거? 신용등급 무관심 '큰 코'



모 IT기업의 A대리(33)는 조만간 둘째가 태어날 예정이라 전셋집을 늘릴 계획으로 은행을 찾아 대출상담을 하고는 가슴을 쓸어 내렸다. 자신이 그간 짐작했던 것보다 신용등급이 낮아 원하는 대출액수가 간신히 가능하다는 답변을 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일전의 카드연체 한번이 신용도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짐작을 했지만 자신이 평소 신용도에 무관심했음을 후회했다.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평가하는 개인의 신용도는 대출, 카드 등 신용거래가 빈번한 현대사회에서 거래 가능여부와 거래 규모를 결정하는 가장 확실한 잣대다. 하지만 대출 등 여전히 필요할 때만 신용도를 확인하고 관심을 가지다간 부동산 거래 등 자칫 생활 속에서 곤경에 처할 위험이 있다.

국내 대표 금융기관에서 자신의 신용도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고 싶다면 손쉽게 확인할 방법이 있다. 은행, 보험사, 캐피털사, 저축은행 등 국내의 주요 금융기관에 개인의 신용평가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는 개인신용관리 사이트 올크레딧(www.allcredit.co.kr)의 '내 신용도 무료확인 이벤트'에 참여하면 금융기관에서 평가하고 있는 개인의 신용위험도를 알려준다.

이를 기초로 향후 자신의 신용거래 기준으로 삼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신용관리 계획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이번 올크레딧의 신용도 무료확인 이벤트는 은행 등 국내 대표적인 금융기관에서 개인의 신용위험도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되는 것으로 일반 신용평가와는 달리 개인의 우량한 신용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벤트는 다음달 11일까지 올크레딧 사이트에서 참여할 수 있으며 자신의 신용도 결과를 확인한 모든 사람에게 영화예매권, 크리스피 커피& 도넛세트를 비롯해 개인정보안심보험, 종합신용관리플러스 5%할인권 등 4가지 선물 중 한 가지를 준다.

거기다 이벤트 기간 중 올크레딧의 신규회원으로 가입하면 장차 자신의 신용등급 변화를 예측해 현재와 비교해 얼마나 상승 또는 하락할지 미리 알려주는 신용등급 시뮬레이터까지 무료로 이용할 기회를 준다.

박스

닥터 크레딧의 꼼꼼한 신용관리

Q. 내년에 오랜 전셋집에서 탈출해 드디어 마이 홈을 장만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부족한 자금을 은행에서 대출로 해결하려고 하는데 상당한 금액이라 대출 후에 제 신용도가 하락할지 염려가 됩니다. 제 명의로 대출이 늘어날 경우 신용등급에 변동이 생기는 지 미리 확인할 방법이 있을까요?

A. 국내에선 유일하게 개인신용관리 사이트 올크레딧에서 '신용등급 시뮬레이터'라는 서비를 통해 대출, 이자 및 원금상환, 카드거래 증감 등 신용과 밀접한 요소들에 변수를 주어 과학적으로 개인의 신용등급 변동여부와 변동 폭을 변동확률로 미리 사전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를 잘 이용하시면 신용거래와 관련하여 귀하의 신용관리에 유용할 것입니다.

미니 박스

치솟는 물가에 투잡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시간, 비용 등의 부담으로 마땅한 아이템을 찾기란 쉽지 않다.

시간은 절약하고, 별도의 비용 부담 없는 고수익 부업을 찾고 있다면,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의 제휴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이용해 보자. 현대스위스 제휴 파트너십은 인터넷 홍보를 통한 수익 창출 프로그램으로 블로그, 온라인 게시판 등을 활용하면, 건당 최고 180만원의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자격 제한 없이 홈페이지를 통해 쉽게 파트너 등록이 가능하며, 홍보를 위한 다양한 제작물을 지원하고 있어, 비용 부담 없이 효과적인 홍보가 가능하다. 문의:www.alpsloan.com/partne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