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모바일

스마트폰 특허전쟁과 사춘기 반항의 10가지 공통점

특허전쟁을 치루는 업체와 반항기 많은 사춘기 청소년 간에 묘한 공통점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화제가 되고 있다.

26일 블로그에 등록된 '스마트폰 시장과 사춘기의 공통점 10가지'란 글에 따르면 '무슨 말만 하면 대들고 반항한다'는 것이 가장 큰 유사점이다. 최근 삼성전자와 애플 간의 특허전쟁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는 설명이다.

또 ▲이야기가 통하지 않는다 ▲잔소리를 들으면 짜증을 낸다 ▲주변의 평가에 매우 신경을 쓴다 등도 특허전쟁과 사춘기 전쟁간의 공통점으로 꼽혔다.

이 밖에 ▲자신만만 했다가도 소심해진다 ▲비밀이 너무 많아졌다 ▲밤마다 스마트폰 사용하느라 늦게 잔다 ▲거울을 자주본다 ▲옷차림에 신경쓰인다 ▲이성에게 관심이 간다 등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다.

이 블로거는 절대 특정업체를 비하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며 해결방법도 제시했다.

▲대들때는 칭찬이 약이다 ▲폭력적이면 따끔히 지적해야 ▲음란물은 가정과 함께 막아야 ▲감정적으로 대하지 말고 공감하려는 노력을 보여야 ▲학습 부진한 기업은 방과후 학교와 사교육을 적절히 활용해야 ▲현재 실력을 진단하고 기대에 못 미쳐도 향상된 정도를 기준으로 격려해야 ▲충분히 따라 잡을 수 있다고 설명하며 흥미와 자신감을 심어줘야 ▲상담카드를 만들어서 꾸준히 기록 ▲꾸준한 인간관계를 형성한다는 목표로 문제 예방 ▲장점을 칭찬하는 방식으로 설득 등이 해결책이다.

이 블로그를 접한 네티즌들은 '사춘기 딸 때문에 고민이 많았는데 크게 한번 웃었다' '공통점이 전혀 없어보이는 기업과 청소년을 엮은 발상이 기발하다' 등의 반응을 쏟아내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과 사춘기의 공통점 10가지

1. 무슨 말만 하면 대들고 반항한다.

-->특허전쟁

2. 이야기가 통하지 않는다.

-->특허 관련한 협의를 하지 않음, 생산협력 중단, 독도 단독 표기 철회 등

3. 자신만만 했다가도 소심해짐

--> 잘나가고 자신만만했던 회사들도 갑자기 소심모드로 돌변

4. 비밀이 너무 많아졌다.

--> 모든 것은 비밀리에 이루어지고, 비밀인 것 처럼 입소문을 낸다

5. 밤마다 스마트폰 사용하느라 늦게 잔다.

-->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밤늦게까지 카카오톡, 페이스북, 애니팡 등 모바일 라이프를 밤늦게 즐긴다

6. 거울을 자주본다

--> 사용자 중 여자들은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거울처럼 들여다본다

7. 잔소리를 들으면 짜증이 난다.

--> 언론에서 스마트폰 관련한 오해 기사가 나오면 대응을 즉시한다

8. 옷차림에 신경쓰인다.

--> 더 얇고 멋진 스마트폰을 제공하다보니 1년만 되어도 구형폰이 되는 느낌이다

9. 이성에게 관심이 간다

--> 어제만 해도 적이었던 기업들이, 오늘은 서로 구애를 하며 연합이 된다

10. 주변의 평가에 매우 신경을 쓴다.

--> 소비자들의 평가 및 언론 평가에도 엄청난 신경을 쓴다

해결방법 10가지

1. 대들때는 칭찬이 약이다

2. 폭력적이면 따끔히 지적해야

3. 음란물은 가정과 함께 막아야

4. 감정적으로 대하지 말고 공감하려는 노력을 보여야..

5. 학습 부진한 기업은 방과후 학교와 사교육을 적절히 활용해야.

6. 현재 실력을 진단하고 기대에 못 미쳐도 향상된 정도를 기준으로 격려해야..

7. 충분히 따라 잡을 수 있다고 설명하며 흥미와 자신감을 심어줘야..

8. 상담카드를 만들어서 꾸준히 기록

9. 꾸준한 인간관계를 형성한다는 목표로 문제 예방

10. 장점을 칭찬하는 방식으로 설득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